문제
알코올 또는 OTs와 같은 leaving group이 주어진 반응물과 시약을 참고하여 생성물의 입체구조가 옳은지를 파악하는 문제를 풀이해보도록 합시다.
풀이
먼저 보기 ㄱ의 반응식을 보면 pyridine이 수소를 제거하고 그 다음 산소 음이온이 친핵체의 역할을 하여 친핵성 치환반응을 일으키게 됩니다. 고리를 입체 구조로 그려보아도 steric이나 배향 측면에서 문제가 될 것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보기의 가장 큰 핵심은 backside attack 되는 탄소가 쐐기-대쉬의 중심 탄소가 아니기 때문에 친핵성 치환반응임에도 쐐기-대쉬 입체 표현이 반전되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오개념이 기존에 나한테 있었는지 체크해보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어쨌든 메커니즘대로 풀어보면 trans decalin이 얻어져야 하는데 보기의 생성물에서는 cis decalin을 최종 생성물로 그려놓았으므로 틀린 보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 다음 보기 ㄴ의 반응식을 보면 OAc가 치환기로 붙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 인지해야할 포인트는 시약과 동일한 치환기가 분자 내에 존재한다는 가정하에 시약으로 주어진 AcOH보다 분자 내에 있는 AcO가 더 반응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분자 내에 있으니 당연히 반응할 여지가 높겠죠.)
따라서 분자 내에서 먼저 SN2 반응을 일으키고 그 다음 시약이 반응할만한 자리가 있는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위처럼 입체구조를 그려 확인해보면 OAc 내에 있는 산소가 OTs가 붙어있는 탄소를 backside attack 할 수 있으므로 우선 분자 내 SN2 반응이 일어납니다.
그 다음에 그제서야 시약으로 투입된 AcOH가 친핵체로 작용하게 됩니다. 그러면 보기 ㄴ이 막연히 보면 틀렸을 것 같지만 위와 같이 두 가지 생성물이 major로 나와서 보기 ㄴ이 맞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보기 ㄷ의 반응식을 보면 NBS가 알켄쪽에 반응하여 Br이 삼각 고리 중간체를 형성함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아래쪽으로 삼각 고리가 생성될 수도 있겠지만 CH2OH가 붙어있어서 steric이 커서 위쪽으로 형성됩니다.
그 다음 OH기의 전자쌍이 친핵체로 작용하여 SN2를 일으켜서 위와 같은 생성물이 얻어집니다. 따라서 보기 ㄷ은 맞음을 알 수 있습니다.
보기 ㄴ과 ㄷ이 맞으므로 정답은 4번이 됩니다.
'자연과학(PEET) > 유기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ET 유기화학] 2018학년도 8회 PEET 유기화학 고난도 기출문제 풀이/해설 (0) | 2021.07.11 |
---|---|
[PEET 유기화학] 2019학년도 9회 PEET 유기화학 고난도 기출문제 풀이/해설 (3) | 2021.06.08 |
[방향족 화합물] 친핵성/친전자성 치환반응 자리를 묻는 문제 (2016학년도 18번 풀이) (0) | 2021.03.10 |
[방향족 화합물] 최종 생성물만 알려줄 때 초기 반응물을 예측하는 문제 (2017학년도 5번 풀이) (0) | 2021.03.09 |
[알코올] PBr3, SOCl2 등의 시약을 주고 중간 생성물들을 예상하는 문제 (2019학년도 6번 풀이) (0) | 2021.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