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PEET)/유기화학

[알코올] PBr3, SOCl2 등의 시약을 주고 중간 생성물들을 예상하는 문제 (2019학년도 6번 풀이)

restudy 2021. 3. 9. 23:03
반응형

문제

이번 문제에서는 반응물로 벤젠 고리에 Cl과 알코올이 붙어있는 방향족 화합물을 주고, 중간 시약으로 PBr3과 친핵체로 사용될 여지가 있는 질소와 산소가 포함된 시약을 주었습니다. 그리고 두 번째 반응 시약으로 SOCl2와 AlCl3을 주었는데요, 위와 같은 문제를 풀이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풀이

먼저 생성물 A가 생성되는 첫 번째 반응을 봅시다. PBr3를 첨가하고 가열해주는 반응인데 이것은 OH를 Br로 치환시키는 반응이니 꼭 외워두도록 합시다.

 

 

[알코올] PBr3(+ pyridine)을 이용한 알코올 치환반응

반응식 알코올 치환반응 3가지 중 마지막 PBr3를 이용한 반응입니다. 이 반응은 POCl2/pyridine을 이용한 반응과 유사한 점이 많은데 우선 하이드록시기가 PBr3의 Br로 치환되는 것이기 때문에 오직 brom

restudycafe.tistory.com

↑ 여기에 PBr3을 이용한 치환반응에 대한 메커니즘이 정리되어있으니 메커니즘이 궁금하시면 참고하면 됩니다.

 

그 다음에는 친핵체에 의한 치환 반응이 일어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는데, 문제는 시약에서 친핵체로 사용될 수 있는 부분이 N과 O의 전자쌍으로 두 부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둘 중 어떤 것이 더 친핵성이 좋은지 구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전기음성도의 경우 산소가 질소보다 더 큰데 이는 역으로 생각하면 전자쌍을 잘 제공하지 않는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결국 염기성이 낮음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질소의 전자쌍이 친핵성이 높기 때문에 질소의 전자쌍이 친핵체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생성물 A는 위와 같고 이에 따라 정답은 1, 2, 3번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 다음 SOCl2를 첨가하고 가열하는 반응이 나오는데, 이 반응은 PBr3 반응과 세트로 외워두면 좋습니다.

 

 

[알코올] SOCl2, pyridine을 이용한 알코올 치환반응

반응식 알코올 치환반응의 두 번째 반응식입니다. 알코올에 SOCl2와 pyridine을 처리하면 Alkyl Chloride를 생성하는 반응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알킬할라이드가 아니라 Alkyl Chloride로 특정하는

restudycafe.tistory.com

↑ 반응에 대한 메커니즘은 위에 정리되어있으니 참고하면 되고, 우리는 반응에 대한 결과만 외우고 있으면 됩니다.

 

그 다음에는 AlCl3이 첨가되는데, AlCl3은 유기화학에서 등장하는 몇 안되는 Lewis 산 중 하나입니다. 즉 전자쌍을 받아들인다는 이야기인데 반응물에서는 질소의 전자쌍과 염소의 전자쌍을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질소의 전자쌍을 받아들일 경우 생성물이 매우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염소의 전자쌍을 받아들여 결국 떨어지게 됩니다.

 

그 다음에는 방향족에서 전자쌍을 제공하여 고리 화합물을 형성하고 따라서 위와 같이 결합의 수를 잘 세어주면 칠각형의 고리를 형성함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결합 수에만 주의(결합이 하나 더 생성되므로 변의 수도 한 개 더해서 세어주어야합니다.)해주면 3번이 정답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