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PEET)/요약 정리 자료

[PEET 생명과학] 일반생명과학 전 범위 기출 문제 등장 개념들 정리

restudy 2021. 7. 1. 20:27
반응형

PEET 생명과학 기출문제들을 풀이하면서 정리했었던 노트 필기본을 텍스트로 옮겨 정리해봅니다.
기출문제 출제년도와 번호는 정리되지 않는 점 양해 바랍니다.
(다만 추후에 출제년도와 번호대로 한 번 더 정리할 생각입니다.)
** 없는 문항 번호는 특이적으로 정리할 개념이 없는 문항입니다.


1. 생물의 3영역 특징
진정세균은 스트렙토마이신에 대한 감수성이 있으며, 개시 아미노산이 fMet입니다. (고세균은 Met)
진핵생물은 디프테리아독소에 대한 감수성이 있습니다.
원핵생물의 70S 리보솜보다 진핵생물의 80S 리보솜의 크기가 더 큽니다.

2.
균계(곰팡이)로부터 페니실린이 발견되었습니다.
탄저균은 저GC 그람양성균입니다.

3.
알라닌 : 중성 아미노산

4.
cGMP는 간상세포 빛 자극 감각변환 시 2차 전달자로 사용됩니다.

5.
ATP --(아데닐산 고리화효소)--> cAMP

6.
리불로오스 --(인산화)--> RuBP
설탕 : 과당 + 포도당, α-1,2 글리코시드 결합
뉴클레오타이드 : 리불로오스 C1-C4 공유 결합

7.
요오드 반응으로 검출되는 다당류 : 아밀로오스, 아밀로펙틴, 글리코겐 (α-1,4 글리코시드 결합을 포함)
아밀로오스 : α-1,4 나선형
아밀로펙틴, 글리코겐 : α-1,4 + 곁가지 α-1,6
셀룰로오스, 키틴 : β-1,4 직선형

8.
세균에는 히스톤 단백질이 없습니다.

9.
내생포자는 그람양성균에 있습니다.
표면에 지질층(왁스 코트)이 있는 균은 항산성 세균으로, 염기석 염색약에 염색됩니다. (ex : 결핵균)
고세균 세포벽에는 펩티도글리칸이 없습니다.

10.
퍼옥시좀 : 지방산 산화 (분해)
미토콘드리아 : 별도의 tRNA를 가지고 있으며, 미토콘드리아에서 기능하는 단백질의 유전자들은 대부분 핵에 있습니다.
효소의 기질친화도 ∝ 1 / K_m

11.
리보솜 대단위체는 핵공을 통해 단위체 통째로 핵 → 세포질로 이동합니다.
핵공에는 히스톤, 전사인자, DNA 중합효소 등도 들어갑니다.
핵인은 세포분열 전기에 사라졌다가 말기에 생성됩니다.

12.
식물 글리옥시좀 : 지방산 → 당 (동물 세포는 지방산을 당으로 전환하지 못합니다.)
미토콘드리아에서는 전사도 일어나고, 리보솜 / DNA Polymerase / tRNA 모두 있습니다.
단백질 folding은 조면소포체에서 일어납니다.

13.
SRP : 세포질 자유 리보솜에서 합성된 분비 단백질의 신호펩타이드에 결합

15.
단백질 이황화결합은 시스테인 사이에서 발생
인슐린은 분비 단백질이므로 조면소포체로 이동하는데에 필요한 신호펩타이드가 있습니다. (조면소포체에서 제거)
인슐린 표적 기관 : 간, 근육, 지방 조직

16.
중간 섬유 : 핵 형태 유지에 관여

17.
진핵생물 편모 : 미세소관 9+2 구조, 디네인이 ATP 사용
원핵생물 편모 : 플라젤린 단백질, H+ 기울기로 편모 이동 (프로펠러처럼 움직임)
콜히친 : 미세소관 중합 억제 (= 진핵생물의 편모 이동성을 억제)

18.
진핵생물 섬모 : 미세소관 + 디네인 (키네신 X)
미세소관을 구성하는 9개의 이합체들이 링 구조로 배열 + 2개의 미세소관이 링 중간에 배열
∴ 섬모 횡단면에는 미세소관 20개 관찰

19. 위족운동 (동물세포 이동)
위족운동은 액틴 미세섬유에 의해 발생


20.
부착연접 : 액틴 미세섬유 + 카드헤린
데스모좀 : 중간섬유 + 카드헤린 / 장력 발생 (손상 시 피부 물집 등이 발생)

21. 연접

밀착연접은 소장과 같은 기관 내강의 표면에 존재하며, 화학적 환경을 분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데스모좀은 심근세포, 상피세포에 존재합니다.
간극연접은 전기신호를 전달하며, 단백질은 통과가 불가능합니다.

22.
미토콘드리아 : 자체 DNA, RNA로 단백질 합성하므로, 뷰렛 반응에 검출됩니다.
소포체 : N-당화
핵라민 단백질 : 유사분열 전기에 인산화

24.
요소는 적혈구 세포막을 자유롭게 통과 가능합니다.
적혈구 세포질 삼투 농도와 용액 농도가 동일할 때가 등장액입니다.
적혈구 용혈 : 저장액에서 적혈구가 터지는 현상
적혈구 부피 : 등장액 > 고장액(∵ 쪼그라들어서) > 저장액(∵ 터져서)
Osm/L : 반트호프인자까지 고려한 농도 단위 (ex : NaCl 1mol/L = 2 Osm/L)

26.
용질 퍼텐셜 : 수분 이동 출발점 > 도착점
NaCl도 세포막 통과 못하므로 수분 퍼텐셜 측정에 사용 가능합니다.

27.
뿌리에서 H2PO4-는 H+와 함께 공동수송됩니다.
Lipase는 분자량이 크므로 소낭으로 분비됩니다.
수송 단백질 자체는 ATP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소낭은 키네신이 ATP를 소모하여 이동시키는 것입니다.

28.
K_m : 1/2 V_max일 때의 S 값

29. 효소반응속도론

따라서 기질 농도가 2배가 되더라도 초기 반응속도는 2배가 아닙니다.

30.
△G는 E_a와 관련있으므로, 같은 반응을 매개하는 효소이면 온도에 따른 활성이 다르더라도 △G 값이 같습니다.

32.
미토콘드리아에 짝풀림물질을 처리해도 NADH에서 O2로 전자 이동은 발생합니다. (ATP 합성이 일어나지 않는 것임)
올리고마이신은 F_0(통로)에 결합하여 H+ 이동을 방해합니다. (ATP 합성 억제)

33.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 ATP 합성) 실험에서 숙신산 용액 대신 포도당 용액을 사용할 경우 : pH 변화 ↓
(∵ 해당과정은 미토콘드리아만 있으면 일어나지 않기 때문)

34.
청산가리(CN)은 전자전달계 저해 : O2 → H2O 반응 ↓
짝풀림물질 : H+가 ATP 합성 효소를 통하지 않고 미토콘드리아 내막으로 이동하게 함 (기울기 ↓, ATP 합성 ↓)

36.

짝풀림 단백질은 (신생아의) 갈색지방조직에 많습니다.

37.
젖산은 미토콘드리아 내부로 들어갈 수 없으므로, 전자전달계 작동 X, O2 소모 X
해당작용은 세포질에서 일어납니다.

38.
문제 상황 : 해당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 A 처리 → 생성 ATP 5/6으로 감소, 포도당 1번 탄소가 바뀜


39.


40.
PFK-1 : 다른자리입체성 효소
AMP, ADP, F-2,6 bisp에 의해 활성
ATP, 시트르산에 의해 억제

41.
포도당에서 피루브산으로 전환되는 해당과정은 산화 반응입니다.
AMP, ADP, F-2,6 bisp는 해당과정을 촉진, ATP는 해당과정을 억제합니다.
피루브산에서 아세틸CoA로 전환되는 과정 역시 산화 반응이며, 미토콘드리아 기질에서 일어납니다.
F-2,6 bisp는 피루브산인산화효소를 활성화시킵니다.
기질 수준의 인산화는 ATP 생성을 의미합니다.
시트르산 회로는 숙시닐CoA에서 ATP를 방출하고 숙신산이 되는 과정을 거치며, NADH에 의해 억제됩니다.
O2가 없으면 전자전달계가 돌아가지 못하므로 피루브산 산화과정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42.
Mt에 O2가 없으면 전자를 전달받을 주체가 없어서 전자전달계가 돌아가지 않습니다.
엽록체 O2 생성 = 비순환적 전자전달과정

43.
명반응은 450nm에서 잘 일어납니다.
탄소고정반응은 스트로마에서 일어납니다. (NADPH 솜)
루비스코는 스트로마에 존재합니다.
ex ) 빛의 파장을 550nm -> 450nm로 변경했을 때 : NADPH(↑)/NADP+(↓) 값은 증가

44. 순환적 광인산화

순환적 광인산화만 진행할 때는 NADPH의 생성이 없습니다.

45.
광계 II 맨 처음에 O2가 발생합니다.

46.
루비스코는 스트로마에 있으며 pH ↑일 때 활성화됩니다.
∴ 빛 있을 때 틸라코이드 내부로 H+ 이동 = 스트로마 pH ↑ = 루비스코 활성 ↑

47.
캘빈회로의 3PG는 녹조류 세포 기질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48.
C4 식물은 책상 조직 구분없이 엽육세포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고온 건조 환경에서 광호흡량 : C3 > C4, 수분 손실량 : C3 > C4,
CO2 고정효소의 CO2 친화도 : C3 (RubisCO) < C4 (PEP)
CO2 고정 ATP 소모량 : C3 < C4

49.
CO2 한 분자 고정당 C3 식물은 3 ATP 소모 < C4 식물은 5 ATP 소모

50. CAM 식물
CAM 식물은 밤에 CO2 고정 ↑, 녹말 ↓ / 낮에 CO2 고정 ↓, 녹말 ↑ (캘빈 회로)
PEP → OAA : 엽육세포에서 고정하고, 말산으로 전환 → '액포'에 저장

51.
고온건조한 환경에서 광호흡 : C3 > C4
CAM 식물은 밤에 CO2를 말산으로 저장합니다.
광보상점 : C3 > C4, CAM

52.

a : 광합성 산물 O2
b : 광합성 재료 CO2
c : 광합성 산물 O2 + 호흡 산물 CO2
d : 광합성 재료 CO2 + 호흡 재료 O2

C4 식물은 루비스코에 안정적으로 CO2를 공급하므로, 광호흡을 거의 하지 않습니다.
∴ 45℃까지 총 광합성량은 계속 ↑

53.
식물 세포 호흡량 = 총 광합성량 → CO2 농도 변화 X


54. 광합성 세균
홍세균, 황세균 : 전자 공여체 H2S(혐기성 세균) → 황이 생성됨
Q → NAD+ 전자 전달 과정에서 에너지가 소모됩니다.
엽록체의 조상이 아닙니다. (엽록체 조상은 두 종류의 광계를 이용하는 세균 = 남세균)

55.
다당류 결합이 α 결합인지 β 결합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아밀로펙틴, 글리코겐은 α-1,6 글리코시드 결합을 가지며, 둘 다 소화 가능합니다.

56.
소장 상피세포 융털 : 미세 섬유 = 액틴 다발이 많습니다.
소장 상피세포 정단부 아래의 밀착연접이 세포외액 유출을 방지하며,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집니다.

간극연접에서도 물질의 이동이 (수동적으로) 일어납니다.

57. 적혈구 용혈 실험
적혈구 + NaCl 0.3~0.9%에서 실험을 한다면 0.9% NaCl이 등장액입니다.
(∵ 용혈 현상을 관찰하는 실험이므로 고장액은 필요하지 않으므로)
실험 문제는 실험이 제대로 설계되어다는 가정을 전제로 풀어야합니다.

60. 명반응
H2O → 1/2 O2 + 2H+ + 2e-
NADP+ + 2H+ + 2e- → NADPH
∴ 산소 1분자 발생 시 NADPH 2분자 생성
순환적 광인산화 : H2O 분해 X, NADPH 생성 X, O2 생성 X → 이 3가지를 만족하며 ATP 생성

61.
CAM 식물은 밤에 CO2를 유기산으로 저장하므로, 밤에 pH가 낮습니다.
C3 식물로부터 C4, CAM 식물이 파생되었으므로, C3 식물도 CAM 식물과 같은 방식의 광합성이 가능합니다.
C3 식물이 C4, CAM 식물보다 광호흡을 많이 하고, H2O 광분해가 많이 발생합니다.
고온에서 Rubisco 활성은 카르복실화효소(CO2 고정) < 산화효소(O2 고정)이므로, C3 식물은 고온에서 효율이 낮습니다.

62.

DNase I을 처리하면 뉴클레오솜 한 단위만큼이 절단됩니다. (200bp)
H1 단백질을 제거하고 DNase I을 처리하면 히스톤 8량체만 남습니다. (147bp)
뉴클레오솜 단위로 관찰하려면 염색체 응축이 되지 않은 '간기' 세포를 관찰해야 합니다.
페놀은 단백질을 변성시키므로 히스톤 복합체로부터 DNA를 분리할 수 있습니다.

63. 세포주기
Rb 단백질 : 세포주기를 G1에 멈추며, G1-S 사이클린 Cdk에 의해 불활성화됩니다.

64.
유전자 X에 대한 SiRNA = 유전자 X를 절편화 (염색체를 절편화) = 유전자 X를 억제
SiRNA를 도입 = 안티센스 RNA 도입 (비슷한 의미)
RNAi도 같은 기법입니다.

66.
<문제 조건>
열매 색 : A_bb = 노랑, aabb = 녹색, __B_ = 흰색
열매 모양 : D = 둥근, D* = 길쭉
P1 : A_bbD_ x P2 : __B_D_ → 6가지 표현형이 모두 나타나고, 노란 둥글 : 녹색 길쭉 = 3 : 1이 나타나야 함

<풀이>
6가지 표현형이 나타나기 위해서는 P1 = Aabb, P2 = AaBb 또는 aaBb
노란 둥글 : 녹색 길쭉 = 3 : 1이기 위해서는 P2 = aaBb이고, 둘 다 DD*이어야 합니다. (D 우성 > D* 열성)
∴ P1 = AabbDD*, P2 = aaBbDD*

67.
교차율 = (단일 교차 수 + 이중 교차 수) / 전체
이중교차 기대치 = 1번 자리 단일 교차율 * 2번 자리 단일 교차율
이중교차 기대치 > 실제 이중교차율 : 단일 교차가 다른 자리의 교차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짐

68.
유전자가 X 염색체에만 존재할 경우, 수컷의 유전자형은 재조합 빈도에 영향 X

69.
재조합 빈도가 50% = 두 유전자는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음
재조합 빈도가 50% 미만 = 두 유전자는 한 염색체 상에 위치하여, 교차가 발생함

70.


71.
혈액형 + 상염색체 우성 유전병일 때


72. 문제 상황 : a는 열성 인자일 때, 수컷은 90%가 a, 암컷은 0%가 a
수컷 a 빈도는 P 세대에서 0.9, F1 세대에서 0, F2 세대에서 0.45

→ 아버지 유전자가 수컷에게 전달되지 않았으므로 성염색체 X 유전임을 추론 가능
F1 : 수컷 X(A)Y 100%, 암컷 X(A)X(a) 90% + X(A)X(A) 10%
F2 : 수컷 X(A)Y 55% + X(a)Y 45%, 암컷 X(A)X(A) 55% + X(A)X(a) 45%

77.
문제 상황 : 우성 유전자 A, 열성 유전자 B / 유전자 빈도 A 0.1, B 0.4일 때 → aaBB가 임의의 개체를 만나 형질 A, B를 모두 가지는 개체를 얻을 확률
풀이 : 배우자의 유전자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AABB : 0.1 × 0.1 × 0.4 × 0.4 = 0.0016
AABb : 0.1 × 0.1 × 0.4 × 0.6 × 2 × 1/2 = 0.0024
AaBB : 0.9 × 0.1 × 2 × 1/2 × 0.4 × 0.4 = 0.0144
AaBb : 0.9 × 0.1 × 2 × 1/2 × 0.6 × 0.4 × 2 × 1/2 = 0.0216
→ 총합 0.04 = 4%

78. 모계 영향 유전자 - 달팽이 껍질 회전 방향


81.
F 인자를 복제하다가 돌출된 가닥은 F- 세포로 일단 이동된 뒤 상보적 가닥이 합성됩니다.

82.
Telomerase : 역전사 활성. 활성도가 높을수록 세포분열능력이 높습니다.
ex ) 줄기세포는 높은 Telomerase 활성을 가집니다.

86.
tRNA - 아미노산 : 고에너지 에스테르 결합, 아미노아실 tRNA 합성효소에 의해 촉매
코돈 - 안티코돈 : 수소 결합
진핵세포 tRNA는 RNA Polymerase III에 의해 핵질에서 전사됩니다. (핵인에서 X)

87.
tRNA 3' 말단 : -OH에 아미노산의 -COOH를 수소 결합
개시 tRNA는 리보솜의 P 자리에 결합합니다.
rRNA 펩티드기 전이효소 ≠ 리보솜 구성 단백질 (리보솜 구성 단백질은 단지 펩티드 결합을 촉매할 뿐입니다.)

88.
원핵세포 리보솜 소단위체 30S = 16S rRNA + 여러 단백질들
번역 신장 단계에서 2GTP 소모 (코돈 인식, 리보솜 이동)

89.
유전자를 암호화하는 mRNA = 신호 서열이 번역되지 않음
∴ 이 경우 부착 리보솜에 의해 번역되지 않으며, 단백질은 막 안으로 이동하지 않습니다.

90.
선택압 : 자연선택이 발생하는 경향, 미스센스 돌연변이 > 침묵 돌연변이

93. 페니실린 '기존' 내성 대장균 선별 실험
페니실린이 없는 배지에서 대장균을 배양 후, 두 개의 별개의 페니실린 배지로 각각 찍어 옮깁니다.
→ 두 배지에서 위치가 일치하는 콜로니 : 기존에도 내성이 있었음
한 쪽에서만 나타나는 콜로니 : 기존에 내성이 없었지만 이후 생김

94.
숙주 세포는 RNA 복제 효소가 없습니다.
∴ RNA 바이러스는 자신의 유전체로부터 합성된 전사체를 사용합니다.
캡시드(바이러스 유전체 캡슐)는 바이러스 유전체가 암호화합니다.
외피 당단백질의 단백질은 숙주세포 소포체 결합 리보솜에서 합성합니다.
외피 당단백질의 당은 숙주세포 소포체와 골지체에서 합성합니다.
비로이드 = 감염성 RNA / 비리온 = 감염성 바이러스

95. 아데노 바이러스, HIV 바이러스 외형


96.
RNA (-) 바이러스 : '유전체가 mRNA로 작용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mRNA '합성'의 주형으로 사용됨)
헤르페스 바이러스 : ('일시적으로' 숙주 핵막에서 유래된 막 →) 골지체 막에서 유래된 새로운 막

97.
HIV 바이러스 캡시드는 숙주세포 세포질의 (숙주세포의) 자유 리보솜에 의해 번역되어 합성됩니다.
HIV 바이러스 외피는 숙주세포막 인지질 이중층입니다.
외피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HIV 바이러스의 표적세포 부착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유전체는 RNA Polymerase II에 의해 합성됩니다. (mRNA이므로)

99. 박테리아 유전자 지도 중절교배 실험
유전자 마커 표를 보고 시간은 고려하지 않고 △시간 값만 Hfr 별로 수직선에 나타낸 뒤 종합한다. (삽입 방향 등)
Hfr - F-은 성선모를 통해 접합합니다.
접합 중절 시 블렌더(흔들기)를 이용합니다.

100. 젖당 오페론
포도당 X, 젖당 O일 때 CAP-cAMP 복합체 ↑ → 양성조절인자로 작용

101.
lac 오페론에서 I : 조절유전자, P : 프로모터, O : 작동자, Z : β-galactosidase로 보통 표기합니다.
I-P+O+Z+ : lac 억제자가 없으므로, 젖당이 있으나 없으나 β-galactosidase가 전사됩니다.
I-P+O+Z+ / I+P+O+Z+ : I+가 한쪽이라도 있으므로 lac 억제자가 만들어져서 양쪽 모두에 작용 가능합니다.
젖당 X : 억제자가 활성화되어 β-galactosidase가 전사되지 않습니다.
젖당 O : 억제자가 불활성되고, β-galactosidase는 두 배로 전사됩니다.

대장균 부분이배체 : 1개의 세균염색체 + F' 플라스미드
F' 플라스미드 상의 일부 유전자가 2개의 대립유전자를 가짐

102.
i-o+z+y+ / i+ocz+y-의 부분이배체를 가지는 대장균에 대해 z와 y의 전사량에 대해 생각해봅시다.
i+는 한 쪽만 있어도 됩니다.
젖당 없을 때 : o+z+y+에서 z = 1, y = 1 / ocz+y-에서 z = 500, y = 0
젖당 있을 때 : o+z+y+에서 z = 1000, y = 1000 / ocz+y-에서 z = 1000, y = 0
** o^c는 젖당이 있으나 없으나 전사 ↑ (이 문제에서는 있을 때 2배로 전사)

103.
감염된 파지의 병독성이 클수록 살아남은 대장균의 농도(= 파지 농도)는 감소합니다. (헷갈림 주의)

104.
염색체 아세틸화 = 히스톤 양전하 감소(염색사 두께 30nm -> 10nm)
히스톤 단백질 꼬리의 리신 잔기의 R기가 +전하를 띠지 못하게하여 응축을 푸는 원리입니다.
↔ 유전체 각인 = 메틸화

105.
솔염색체, 다사염색체 모두 '풀어진 염색사'에서 '전사'가 활발히 일어납니다.
진한 색의 축부분은 (전사인자들의 접근이 어려워) 전사가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초파리 유충에 스트레스를 주면, 스트레스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유전자 지역에서 퍼프가 나타납니다.

106.
CpG 섬 : 프로모터 메틸화에 의한 유전자 발현 조절이 일어나는 부분입니다.
시토신(C)에 메틸화가 일어나며, 이 때 히스톤 메틸화 효소와는 다른 효소가 반응을 수행합니다.
ex ) Housekeepking 유전자의 프로모터 CpG 섬은 상대적으로 낮게 메틸화 되어있습니다.
(∵ 항상 발현되어야 하므로 비활성화 될 필요가 없음)

107.
유전체 각인은 배우자가 형성되는 동안 일어납니다.

108.
XIST - D / XIST - d : 유전자에서 불활성화가 나타나면, XIST - D의 XIST가 XIST - D를 불활성화 시킨 것입니다.
배란된 난자에서는 X 염색체는 XIST에 의한 불활성화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난자가 생성될 때 불활성화된 X 염색체가 탈응축되어 재생)
XIST 유전자의 최종 산물은 RNA입니다. (단백질 X)

109. 바소체
효소 E가 혈액으로 분비된다면 (대립유전자 O) 혈액에서는 E_A, E_B가 있으면 둘 다 검출됩니다.
조직에서는 E_A * E_B여도 둘 중 하나만 검출됩니다.
대립 유전자는 동일 유전자좌에 있습니다.

111.
σ 인자가 사용됨 = 원핵 생물

112. 선택적 스플라이싱이 일어났는지 확인하는 법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의 C 말단 부위를 인식하는 항체를 사용 → 웨스턴 블로팅
노던 블로팅 결과는 자기방사법으로 촬영해야 합니다.

113. 플라스미드 형질 전환 실험
질량 당 집락 수 : 단위 환산 * 희석 배수 * 집락 수
형질전환능 세균을 만들기 위해 CaCl2 완충 용액 첨가 (Ca2+가 DNA에 붙어 LPS(-)에 결합)
LB 배지는 (효모추출물이므로) 정확한 조성 X

114. 플라스미드 DNA 클로닝
β-galatosidase는 X-gal을 분해하여 흰색 → 청색으로 만듭니다.
플라스미드에 ori가 있으면 대장균 염색체에 삽입될 필요가 없습니다.
한천 배지의 한천 = agar

115. 대장균 형질 전환
CaCl2 처리 : Ca2+를 통해 DNA가 세포벽 쪽으로 결합 ↑
42℃ 처리 : 열충격을 주어 대장균 안으로 플라스미드가 유입되는 효율 ↑
암피실린 (페니실린계) : 대장균 세포벽 합성을 저해

116.

유전자 X를 EcoR I, 플라스미드를 EcoR I으로 자르면 : Sma I로 절단하여 X의 삽입 방향을 확인 가능합니다.
(∵ 단편 길이가 다르므로)
유전자 X를 EcoR I, Xho I으로 절단 + 플라스미드를 EcoR I, Sal I으로 절단 및 삽입 후,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EcoR I, Sal I으로 자르면 : Xho I - Sal I 자리는 Sal I이 인식 불가능하므로 한 조각의 DNA 단편이 얻어집니다.
+ EcoR I, Xho I으로 잘라도 마찬가지로 한 조각의 DNA 단편이 얻어집니다.

117.
재조합 DNA를 가진 개체의 비율이 100% : 중심절 (방추사 부착점)
(∵ 재조합 DNA가 2개의 딸세포로 정확히 분리되기 때문)

118. PCR
페놀이 물보다 밀도 ↑ (∴ 실험에서 페놀층은 수용액층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단일가닥 DNA를 주형으로 사용해도 표적 서열 DNA 증폭 가능
세포 파쇄할 때 SDS (강력한 음이온 계면활성제) 사용
Taq 중합효소는 72℃에서 활성 ↑

119.
PCR 프라이머 결합단계는 적정 온도만 맞춰주면 스스로 일어납니다. (효소 필요 X)

121.
샤가프의 법칙 : (A+C) / (T+G) = 1

122.
이형접합성 : A와 a가 유전자형에 사용된다는 뜻입니다. (Aa라는 뜻이 아님)
정자의 DNA를 전기영동하면, 반수체 세포의 유전자형이 나타나므로 형질은 A 또는 a 하나만 나타납니다.

123. 생어 염기서열 분석법
결합시키는 수 : dNTP > ddNTP
프라이머만 방사성표지를 해도 됩니다.

124. 생어 사슬종결법 (염기서열 분석법과 같은 의미)
프라이머만 32P 표지해도 되고, dNTP만 32P 표지해도 되고 다 실험이 가능합니다.
전기영동이 끝나면 단순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아닌, X선 필름으로 방사성 자동사진을 촬영해야 합니다.

125.
원생생물은 측계통군입니다.
루비스코는 광합성을 하는 생물에만 있으므로, 루비스코가 있는 원생생물도 있고, 없는 원생생물도 있습니다.
대장균 클로닝은 여러 생물체들의 유전자 증폭 산물들을 따로따로 분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126.
세포사멸(apoptosis)이 일어나면 DNA 분해가 발생하므로 (상대적) DNA 양이 감소합니다.
세포 크기 검문 지점은 G1, G2~M에 있습니다.

128.
a, b의 유전적 거리가 10cM일 때, aaBb x AaBb에서 열성 + 열성이 나타날 확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131.
a 돌연변이체 x b 돌연변이체 → 정상 자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aB x Ab → AB)

134.
두 제한효소의 점착성 말단이 같을 경우 재조합 이후 서열이 달라지게 되어 절단 부위가 ㅏ라집니다.
형질 전환 생물 선별 물질로 사용되는 암피실린은 세균에만 적합합니다.

135. PCR
T_m 고려가 가장 중요한 단계 : 프라이머를 단일 가닥에 결합시키는 단계

136.

혈액은 기본조직에 속합니다.

137. 위
벽세포 K+ 유입 / H+ 유출 + Cl- 유출 (수동 수송)
주세포 펩시노겐 분비 (H+에 의해 활성화)
부교감 신경의 Ach이 가스트린을 자극합니다.

138.
암죽관 : 지용성 물질이 흡수되는 소장 융털
지질 이동 경로 : 암죽관 → 림프관 → ... → 간, 간정맥, 심장 → 온몸
엔테로펩티다아제 : 트립시노겐을 트립신으로 전환시키는 효소이며, 소장에서 분비됩니다. (위 X)
Lipase (쓸개즙) : 간에서 분비, 쓸개에 저장

139.
십이지장 내강 산성도 ↑ → 유미즙(암죽) 양 ↑
췌장 내강 HCO3- 분비 → 정맥혈 산성 ↑

140.
Lipase 등의 소화 효소 활성은 세크레틴에 의해 증가 (분비 자체는 활성 형태로 분비)
Lipase : 지방 → 지방산 + 모노글리세리드
이후 상피세포에서 트리글리세리드로 재합성
이후 유미입자로 응집, 세포외배출을 통해 림프막으로 이동

141.
GluT2는 소장 상피세포 기저막에 존재하며, Na+ 농도와 무관하게 작용합니다.

142.
혹위는 혐기성 환경이므로, 혹위의 미생물은 혐기성 미생물임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ex : 메탄생성균)

143.
가스트린은 아민 호르몬 = 수용성 호르몬입니다.
CCK와 세크레틴은 위분비 억제호르몬으로 작용합니다. (+ 세크레틴은 췌장 HCO3- 분비를 촉진합니다.)
쓸개에서는 지방소화효소(Lipase)가 분비되지 않습니다.

144.
막단백질 수만 증가시켜도 분비 속도 ↑
막단백질에 대한 작용제 투여 → 반응 속도 ↑
막단백질에 대한 길항제 투여 → 반응 속도 ↓

145.
지방산 합성은 간세포 세포질에서 발생합니다.

146.
달리는 중 = 교감신경 흥분 = 당 분해 ↓
글루카곤, 에피네프린 : 지방 분해 ↑ (= 지방산 ↑) (인슐린과 같은 작용)
인슐린 : (지방 세포막의) GluT4 ↑

147.
천식 : 총폐용량 ↑, 잔기량 ↑, 들이쉴 수 있는 공기량 ↓
진폐증 : 잔기량 ↑
폐섬유증 : 총폐융량 ↓, 잔기량 ↓

148.
I대 길이 / A대 길이 : 근육 이완 시 ↑, 근육 수축 시 ↓

149.
외늑간근은 횡격막과 같이 이완 / 수축합니다.
ex ) 외늑간근은 호기에 이완합니다.

151.
Hb(CO2)는 이산화탄소가 헴에 결합한 것이 아니라, 아미노산 잔기에 결합한 것입니다.
2,3-BPG는 Hb의 O2 포화도를 떨어뜨리므로(= 해리 ↑), 2,3-BPG ↑일수록 Hb의 O2 공급 능력 ↑ (헷갈림 주의)
보어 효과 : pH ↓(= CO2 ↑) → Hb, O2 해리 ↑

152.
혈액 내 O2 분압 ↓ → 해당과정 ↑, 2,3-BPG ↑ → 2,3-BPG가 Hb에 결합, O2 친화도 ↓ → Hb, O2 해리, O2 분압 ↑

153.

pH ↓ → O2 분압에 따른 Hb 산소포화도 / 혈액 산소량 그래프는 오른쪽으로 이동
일산화탄소(CO) 중독 : Hb 산소 운반 능력 ↓, 그러나 Hb 산소친화도는 오히려 ↑

154.


155.
양서류 2심방 1심실
파충류 2심방 불완전 2심실

156.
심전도 그래프 Q ~ T 직전 : 심실 '수축'기
심실에서 혈액은 윗 방향으로 빠져나갑니다.
방실판막 : 심방 - 심실 사이 / 반월판막 : 심실 - 대동맥 사이
심실 수축기 막전위 : 심방 근육은 (-), 심실 근육은 (+)

157.
혈관 두께, 혈류 속도 : 동맥 > 정맥 > 모세혈관

158.

심방, 심실은 최소 압력이 0입니다.
평균 동맥압 ≠ 100 (∵ 이완기 길이 ≠ 수축기 길이)

159.
심음 : 판막이 '닫히면서' 나는 소리
제1심음 : 방실판막 닫힘
제2심음 : 반월판막 닫힘

160. 좌심실 P-V 그래프

정맥 수축력 ↑ → 정맥 환류량 ↑ → 좌심실 부피 ↑

161.
심박출량 = 분당 혈류량
방실결절 지연 = 심방에서 심실로 혈액이 이동하는 시간

162.
100mg/mL 수용액을 혈장에 10mL 투여했을 때 0.1mg/mL이 된다면,
10mL * (100mg / 0.1mg) = 10L가 전체 체액의 양임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164. 박동원전위 그래프

박동원 전위 그래프는 동방결절에 작용하는 전기적 자극이므로, 탈분극 때 '심방' 수축이 발생합니다.

165.
LPS 층에는 O-특이적 사슬이 붙어있습니다.

167.
죽은 균이 유입되어도 그 조각이 항원으로 인식되어 면역반응이 일어납니다.

168.
공여자에서는 림프구의 정상 여부,
수여자에서는 (림프구의 분화 및 발달이 일어나는) 흉선, 골수의 정상 여부가 림프구의 성숙에 영향을 미칩니다.

169.
수지상세포 = 형질세포 = 효과기세포 = 항원 자극을 받은 성숙 B세포에서 분화된 세포
신체의 모든 유핵세포는 I형 MHC를 발현합니다.
수지상세포가 활성화되면 II형 MHC를 발현합니다. (CD4 T cell 발현)
미성숙 B 세포 → 성숙 B세포 과정에서 BCR 유전자의 재배열이 일어나므로, 성숙 B세포의 유전자 크기가 더 작습니다.

170.
T세포 수용체가 발현되면 T세포
B세포는 CD4 발현 X, 대식세포는 CD4 발현 O
곤충은 후천성 면역이 없으므로 T세포나 B세포가 없습니다.

171. 대식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수용체 X
X가 있으면 항원-항체 복합체가 소량만 있어도 T세포 분열 정도가 모두 최고치입니다.
X가 결손되면 항원-항체 복합체 농도에 따라 T세포 분열 정도가 조금씩 증가합니다.

173.
II형 MHC 분자 : 전문항원제시세포(수지상세포, B세포, 대식세포)에서 나타납니다.
클론 증폭 : 미감작 CD4+ T세포, B세포 등에서 나타납니다.

174.
B 림프구 유전자 재조합 이상 → IgM의 다른 항체로의 전환이 어려워집니다.
∴ IgM이 정상 수치보다 ↑, IgG, IgA, IgE이 정상 수치보다 ↓

175.
IgG는 유일하게 태반을 통과 가능합니다. (Rh +, - 개념과 연관)
서로 다른 항체 형들은 중쇄 불변 영역이 서로 다릅니다.
혈장 농도가 가장 높은 항체 형은 IgG입니다.
IgG는 태반을 통해, IgA는 모유를 통해 태아에 수동 면역을 부여합니다.

176.

비만세포를 활성화시키는 항체는 IgE (∵ 비만세포에는 IgE의 Fc 부위에 대한 수용첵 존재)
IgD는 B세포 표면 수용체
기억세포로 분화하는 것은 림프구

177.
항체 자체는 독성 X → ∴ 보체 없이 항체만 투여할 경우 플라크가 형성됩니다.
비장은 가장 큰 림프 기관 → 항체에 대한 반응을 확인할 때 비장을 사용합니다. (항원에 대한 특이적인 항체 생산)
흉선은 항원에 대한 특이적 항체 생산 X

178.
골수종 세포는 항체 생산 능력 X, 암세포
비장 세포는 항체 생산 능력 O, 한 종류 한체만 생산 (단일 클론)
비장 세포 + 골수종 세포 융합 → 단일클론항체 생산 세포 (+ 수명 ↑)

180. 설정점
운동에 의해 생산된 열은 시상하부 기준 온도 변화 X (체온은 오르나, 시상하부 설정에 의한 것이 아니므로 X)
감염에 의해 생산된 열은 백혈구에 의해 발생된 것, 시상하부 기준 온도 ↑
열 저장률은 발열 초기에 가장 ↑

181.
여과율을 구할 때 혈구의 부피는 빼야합니다. (Hct, 헤마토크릿 식에서의 분자에 해당)

182.

세뇨관(헨레고리 상행지)의 용질 농도는 감소합니다.

185.
크레아티닌은 분비만 일어나고, 재흡수는 되지 않습니다.
항이뇨 호르몬은 펩티드 호르몬이므로, 수용체가 세포막에 존재합니다.
Na+은 헨레고리에서만 재흡수되는 것이 아니라 H2O와 같이 대부분 재흡수됩니다.

186.

여과율 : 분비나 재흡수가 없는 물질의 신장청소율

187.

여과량은 수입세동맥 내 농도가 클수록 ↑
그래프 해석에서는 여과 - 배설 = 분비로 접근하면 안되고, 증감 속도를 비교하여야 합니다.
여과는 막수용체에 의한 것이 아니고, 혈압 / 삼투압 / 정수압에 의한 것입니다.

188.

사구체 여과율이 커질수록 교질 삼투압은 ↑

189. RAAS : 레닌 - 안지오텐신 - 알도스테론계

안지오텐시노겐은 간에서, 레닌은 신장에서 분비됩니다.

190.
ANP는 RAAS를 억제, 수입소동맥 이완, GFR ↑
ex ) Na+ 투여 → ADH ↑ → 혈액량 ↑ → ANP ↑ → 레닌 ↓, 알도스테론 ↓, 소변을 통해 Na+ 배설 ↑

191.
ADH는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지만, 합성은 간뇌 시상하부에서 일어납니다.

192.
물 섭취 ↑ → ADH ↓ → 집합관에서 재흡수되는 물의 양 ↓ (> 근위세뇨관)

193.
ADH는 집합관, 원위세뇨관 상피세포막의 아쿠아포린 수 ↑ (근위세뇨관은 변화 X)
(유입 / 유출 관계없이 물질 이동량이 증가하면 수용체 늘어남)

194.
티록신 인산화효소 수용체 : 자기 인산화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 : DNA 결합 도메인이 존재하며, 수용체가 전사인자로 작용합니다.
근육세포 활동 전위는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 리간드-개폐 이온 채널입니다.

195.
해리 상수 K_d가 작을수록 효소와 기질 사이 친화력 ↑
GPCR에 결합하는 리간드는 수용성 (∵ 세포막 수용체)
∴ Exocytosis로 분비됩니다. (단순 확산 X)

196.
호르몬 A가 세포 X에 작용 = 세포 X에서 호르몬 A가 발견됨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전사인자로 작용하므로 단백질 인산화 효소 필요 X

197. 평활근 이완 메커니즘

(혈관 내피세포의) Ach은 NO 합성 ↑ → 평활근 이완
NO 합성효소 결핍 → 혈관 이완 → 혈압 ↑

199.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세포 내 수용체가 전사인자로 작용 (호르몬 분자는 신호일 뿐임)


200.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은 시상하부에서 합성됩니다.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전엽 사이 혈류를 끊고, 131I를 주한 뒤 2일 후 131I 양을 측정 → 131I 양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
(∵ 갑상선 호르몬 분비가 감소하여 음성되먹임 억제가 일어나지 못해, 갑상선 자극 호르몬의 분비가 '증가'한 것임)

201.
갑상샘 세포에서 I- 채널을 차단하면, 티록신을 만들지 못하므로 TSH가 분비됩니다.
갑상선 호르몬 T3 : 3곳이 요오드화 되어있으며, 체내 활성량이 더 많습니다.
갑상선 호르몬 T4 : 4곳이 요오드화 되어있으며, 분비량이 더 많습니다.
요오드화된 갑상선 글로불린은 여포 내강에서 갑상선 상피세포로 세포 내 매개작용으로 이동합니다. (확산 X)

202.
실험 결과에 나타나는 그래프 해석은 반드시 x축에 따른 y축의 값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파라토르몬 : Ca2+ ↑, 비타민 D 형성 ↑, 인산염 농도 ↓, 뼈의 (혈액으로의) Ca2+ 방출 ↑
칼시토닌 : Osteoclast 활성 ↓ (이를 통해 Ca2+ ↓)
펩티드 호르몬 = 수용체가 표적세포 세포막

203.
혈장에 용해되는 호르몬 중 Epi, NEpi를 제외하면 대부분 펩티드 호르몬입니다.
부갑상샘 호르몬 : 인산 재흡수 억제 (Ca2+ ↑ 기능과는 반대)

204.
GluT는 수동수송체입니다.
인슐린 수용체에 이상이 생기면, 인슐린의 지방 분해 작용을 억제하지 못하므로
혈장 지방산 ↑ → 케톤체 ↑ → pH ↓ (산증)

205.
이자 β세포 파괴 → 간에서의 포도당 방출을 억제하지 못하므로, 간에서 계속 포도당이 방출됩니다.
인슐린은 단백질 분해를 억제하므로, 근육 내 단백질량 ↓
케톤체도 간에서 생성됩니다.

206.

양전하 이동 방향의 반대로 전류가 발생합니다.

207.

복어독 : Na+ 이동 억제
전갈독 : Na+ 통로 불활성화 지연 (= 탈분극이 오랫동안 일어남)

208.
전위 : 유입이 먼저 (Na+), 유출이 나중 (K+ 또는 Ca2+)

209. 신경세포 막전위
과분극 상태에서는 K+ 채널만으로 전위를 회복합니다. (Na+/K+ pump를 이용하는 것이 아님)

210.
전도체 전기저항 ∝ 1/A(단면적)이므로, 신경 축삭이 얇으면 전도 속도는 느려집니다.
축삭 휴지상태에서 Na+ 투과도 < K+ 투과도

211. 흥분성 / 억제성 시냅스


212.
연합 뉴런, 운동 뉴런은 신경관에 존재하며, 배아의 신경관에서 유래됩니다.

213.
신경세포(ex : 흥분성 시냅스)에서, Ca2+가 없을 경우 시냅스 후 뉴런은 전위 생성 X, 시냅스 전 뉴런은 전위 생성 O
흥분성 시냅스에는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 EPSP)가 발생합니다.

214.
전압 의존성 Ca2+ 채널이 열리면, Ca2+이 축삭말단에서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돕습니다.
시냅스 전 세포 주변 조직액 Ca2+ 농도 ↓ → Ca2+ 통로로의 Ca2+ 유입이 감소하므로 신경전달물질 분비 ↓

215.
뇌에서, 몸의 자세나 위치를 감지하는 부위는 두정엽입니다.
뇌 왼쪽에서 봤을 때 왼쪽부터 브로카 영역(언어 표현), 베르니케 영역(언어 이해)이 위치합니다.

216. 개구리 반사작용 실험
개구리 뒷다리 반사작용은 척수 반사 (∴ 연수(내장 기관 자율, 항상성 조절)가 제거되어도 반사 작용 O)
개구리는 피부 호흡 또한 일어나므로 실험 시 피부를 링거액으로 적셔줘야 합니다.
척수 반사는 척추 동물에서 관찰됩니다 (ex : 금붕어)
뒷다리를 아세트산에 담그면 → 굴근 반사 : 굴근 수축, 신근 이완

217.
교감 신경 말단에는 Epi, NEpi가 분비되므로,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218.
배변 시 괄약근 모두 이완
소화계는 부교감신경이 자극
긴박한 상황에서는 교감신경 자극 (배변반사 억제)

219. 피부 감각 수용체
ex ) 손가락 : 메르켈 원반 수 ↑, 단위 면적 당 체감각피질 ↑, 수용쟝 (= 수용야) ↑
대뇌 체감각은 두정엽이 담당합니다.
파치니 소체는 진동 등의 압력을 감각합니다.
(외투 등의 지속적 자극에는 반응 ↓ → 빠르게 적응)

220.
후각수용기 세포는 오직 한 종류의 후각수용체를 가집니다.
(그러나 여러 냄새를 구별할 수 있는 이유는, 한 수용체에 다양한 분자와 결합력으로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하나의 사구체는 같은 종류의 후각 수용체를 가진 후각 수용기 세포로부터 정보를 받습니다.

221. 간상세포
바깥분절 원판에 로돕신이 분포되어 있으며, 신경세포에 포함됩니다.
기존에 글루탐산이 신호를 매개하여 암전류가 흐르다가, (= 항상 탈분극 되어있음)
빛을 받으면 과분극됩니다. (수용기 전위 O, 활동 전위 X)
Cis-레티널 -> Trans-레티널

222. 원추세포

아래쪽 말단에 시냅스가 있으며, 위쪽 말단에 옵신이 있습니다.
적색, 녹색 옵신은 X 염색체에 존재하며, 청색 옵신은 상염색체에 존재합니다.
갯수 : 간상세포 >> 원추세포

223.
원추세포가 밀도가 더 높게 분포해야 하므로, 간상세포보다 크기가 작습니다. (∴ 원추세포의 분해능이 더 ↑)
빛에 대한 민감도는 간상세포가 더 높습니다.

224.
근소포체에서 분비된 Ca2+는 액틴 필라멘트의 칼모듈린에 결합합니다. (트로포미오신 X)
ATP가 미오신 머리에 결합하면 액틴에서 분리됩니다.

225. 골격근

A대 : 어두움, 굵은 필라멘트 지역
I대 : 밝음, 가는 필라멘트 지역
근육 길이가 안정 상태 길이보다 짧아지면, 가는 필라멘트들이 겹쳐지므로 장력 ↓
∴ Z선 사이가 짧아진다고 장력이 커지는 것이 아닙니다.

226.


227.
니코틴 Ach 수용체 = 골격근 세포막
무스카린 Ach 수용체 = 평활근 세포막

228.
단식 후 증가하는 지방산은 포도당이 분해된 것이 아닌, 지질 → 지방산 + 글리세롤로 분해된 것입니다.
간, 근육의 글리코겐이 모두 소모 → 아미노산, 젖산으로 포도당 합성
단식으로 케톤체 ↑ → 케톤체 또한 에너지원으로 사용

231.
T세포는 흉선에서 성숙되는동안 (흉선 상피세포 표면의) 자기 MHC 분자를 인식할 수 있는 TCR을 가지는 T세포만 분비됩니다.
∴ 생쥐 A의 흉선을 이식받으면, T세포는 생쥐 A의 MHC 분자만 인식 가능
X x Y F1 생쥐의 모든 유핵세포는 변종 X와 변종 Y의 MHC 분자에 항원 펩티드를 제시할 수 있습니다.

232.
장기 이식 : 수여자에게 공여자의 MHC 유전자가 없으면 거부반응이 나타납니다.
골수 이식 : 공여자에게 수여자의 MHC 유전자가 없으면 거부반응이 나타납니다.

233. PAH 혈장 0.04mg/mL, 오줌의 PAH 16mg/mL, 오줌 배출량 2mL/min, 혈구 용적 50%, GFR 100mL/min의 조건
신혈장류량 : PAH는 재흡수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여과량과 분비량만 고려하면 됨
1분간 제거되는 PAH는 16 × 2 = 32mg, 이 중 0.04mg/mL × 100mL/min = 4mg/min은 여과로 제거
∴ 28mg가 분비로 제거되고, 여과분율 = 4/32 = 0.125
∴ 신혈장류량 = GFR / 여과분율 = 800mL/min
신혈류량 = 신혈장류량 × (혈액 / 혈장) = 1600mL/min

235.
비타민 D : Ca2+ 뼈 → 혈액 ↑ (골밀도 ↓), Ca2+ 신장 재흡수 ↑

236.

신경세포 A가 10개의 세포와 시냅스를 형성했다고 가정
6개의 흥분성 시냅스 4mV + 4개의 억제성 시냅스 5mV → 4mV의 탈분극만 유발

237.
전위의존적 Na+ 채널 억제제를 처리 → 애초에 활동 전위 역치를 넘지 못하므로 휴지막 전위를 그대로 유지 (변화 X)

238.
왼쪽 발로 압정을 밟았을 때 : 왼쪽 다리 굴근(꺾이는 쪽), 오른쪽 다리 신근(펴지는 쪽)에 활동 전위가 발생합니다.

239. 골격근 신경근접합부
Ca2+ 유입 → 신경전달물질(Ach) 방출 → 니코틴성 수용체 결합

240.
세정관 : 정자 형성, 이 때 세정관 내의 정자는 운동성 X

241.
생식세포 감수 1분열 '전기'에 교차가 발생합니다.
프로게스테론 : 제1난모세포 -> 제2난모세포 촉진

243.
레이디히 세포의 핵상 : 2n
제1정모세포 : DNA 2배, 2n
제2정모세포 : DNA 1배, n
정세포 : DNA 0.5배, n

244.
생식선자극호르몬(FSH, LH)도 펩티드 호르몬에 해당합니다.
인히빈은 FSH를 되먹임 억제합니다.
T(테스토스테론)은 여성에게도 분비됩니다.

245. 효소반응속도론 + 황체
해리 상수 (K_d, K_m) : 기질이 절반의 수용체에 결합했을 때 기질의 농도
cAMP는 PKA 조절 부위에 결합하여 PKA를 활성화시킵니다.
2차 전달자(cAMP)가 이용됨 = 수용체가 세포막에 존재
어떤 호르몬이 세포 내에 저장된다 =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아님

246.
배란 전 난자 : 감수 1분열 전기에 중단 (키아스마 관찰됨)
배란 후 난자 : 감수 2분열 중기에 중단

247.
에스트라디올 : 임신기간 동안에 혈중 농도 ↑
hCG : 임신 초기에 태반의 융모막융모에서 분비되고, LH 수용체에 결합
프로게스테론 : 임신 초기에 황체에서 분비되고, 자궁 내막 유지(임신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임신 3개월 이후에는 태반이 스스로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을 합성합니다.

248.
분만 시 자궁 근육은 수축되어야 합니다. (= 프로게스테론 억제)
프로게스테론은 설정점을 증가시켜 체온을 상승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249. 수정막 형성
신호전달과정을 통해 소포체에서 Ca2+ 방출, 수정막 형성
Ca2+ 킬레이트제 처리 시 : Ca2+와 결합하여 Ca2+의 기능을 억제
다량의 빈딘을 처리하면, 정자의 빈딘과 경쟁이 발생하여 수정막이 형성되지 않습니다.

250.

할구 분할로 얻어진 개체들은 유전적으로 모두 동일합니다.

251.
낭배 초기(함입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을 때)에는 운명이 결정되지 않음
∴ 신경 조직을 표피로 이식해도 표피 조직으로 발달한다.

원장 : 회색신월환 부위에서 원구 형성, 함입이 일어나서 형성된 공간
포배강 : 함입되는 세포들에 의해 메꿔짐

252.
수정란의 피질 회전은 식물극의 등배축에서 단백질 농도차를 형성합니다.
중배엽은 동물극 조직으로부터 형성됩니다.
(개구리의 Nodal과 같은) 유전자가 높은 농도로 발현된 부위 = 등쪽 척삭

255.
콜히친 : 미세소관의 중합을 억제
수정란 미세소관의 재배열은 정자에서 온 중심체에 의해 배열됩니다.
미세소관의 배열을 통해 Dsh가 지나갈 수 있는 길이 형성됩니다.
Dsh ¬ Gsk-3 ¬ β-카테닌 → 신경배 형성 = 세포질 결정인자의 재배치
첫 번째 난할 시에는 두 할구 모두 전능성을 가집니다.

256.

상배엽에서 원구를 형성하고, 원구를 통해 중배엽과 내배엽이 형성됩니다.
∴ 상배엽이 중배엽과 내배엽을 형성

영양막 세포는 배가 착상하게 하고, 융모막(태반의 일부)을 형성합니다.
양막은 외배엽, 중배엽에 의해 형성됩니다.
포배기 세포를 분리하면, 유전적으로 동일한 쌍둥이가 형성됩니다.

257.
양막을 생성하는 세포는 내세포괴에서 유래됩니다.
포유류는 회전형 난할을 합니다.
융모막은 영양배엽으로부터 형성됩니다.

258. 일란성 쌍둥이
① 2세포기 배아에서 영양세포층 형성 전에 배아가 둘로 분리 : 2 융모막, 2 양막 (일란성 쌍둥이임에 주의)
② 2세포기 배아에서 영양세포층 형성 후, 양막 형성 전에 배아가 둘로 분리 : 1 융모막, 2 양막
③ 양막 형성 이후 배아가 둘로 분리 : 1 융모막, 1 양막 (샴쌍둥이 발생 위험)

259.
XX 염색체여도 Sox9 발현 유도되면 정소 발달

260. 척추동물 신경관

신경능세포 : 교감신경 / 부교감신경, 말초신경계, 부신 수질, 멜라닌 세포, 머리 골격, 결합조직
체절 : 뼈, 근육, 연골, 진피
신경관 : 중추신경계 (눈 포함)
척삭 : 신경관
+ 체절은 중배엽 세포로부터 형성됩니다.

261.
감각뉴런은 신경능세포에서 분화
운동뉴런은 신경관에서 분화
척삭이 '제거된 위치'에 Shh 단백질을 위치시키기만 해도 (신경관 전구세포가) 운동뉴런으로 분화됩니다.

262. 닭 다리싹 기저부 조각을 날개싹에 이식하는 실험
기저-말단 축 방향 정보가 동일하므로 위치 정보가 결정되지 않습니다.
분화 운명이 결정된다 = 자연 예정사 = 조직을 이식하면 이식한 조직이 발현됨
FGF(사지싹 형성 신호)를 외배엽 아래에 이식하면 새로운 사지가 형성됩니다.

263.
모계 Y mRNA 번역을 억제하는 단백질 X는 배아의 핵에서 발현되는 것이 아니라, 모계 영향 유전자에서 발현됩니다.

264.
어떤 유전자 X에 대해 특이적인 이중가닥 mRNA 절편 주입 = RNAi 현상 발생 → 유전자 X 비활성
모계 유전자 X가 결손된다고 해서 수정란 핵이 X가 결손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

265.
히드라는 자포동물입니다.

266.
정원세포는 생식 가능한 동안 계속 분열합니다.
정자 형성 감수분열 시 XY 염색체는 쌍을 이룹니다.

267.


268. 분화되는 기관

신경능세포 (= 신경계세포) : 멜라닌, 말초신경계
체절 (= 축엽중배엽) : 뼈, 근육, 연골
신경관 : 중추신경(뇌, 척수), 뇌하수체 후엽, 운동신경
척삭 (= 척삭중배엽) : 축엽중배엽, 신경관, 척삭 형성

271.
후각세포 (1차 세포벽에만 있음) 또한 신장한다.
기본 조직계 : 유조직, 후각조직(배치가 빽빽함), 후벽조직(2차 세포벽, 죽은 세포)

272.
엽육세포 두께 : 양지 식물 > 음지 식물 (∵ 빛이 많으므로 두꺼워도 안쪽 세포까지 빛을 받을 수 있음)
죽은 세포는 세포막 - 세포막 연결 X

273.
피층은 두께 ↑, 기본조직이므로 분열 X
뿌리털에서 H+이 '배출'되고, 그 이후 공동수송으로 다시 유입됩니다.
측근(뿌리털)은 내초에서 발생합니다.

274.
그물맥, 나란히맥의 혼동 주의 (그물맥이 쌍떡잎식물)
관다발이 원형 배열 : 쌍떡잎식물 / 관다발이 무작위적 배열 : 외떡잎식물
수 : 유세포에 해당하며, 탄수화물을 저장합니다. (물관과 관계 X)
외떡잎식물은 수염뿌리이므로 내초로부터 곁뿌리 형성 X
외떡잎식물 꽃잎 수 : 3n / 쌍떡잎식물 꽃잎 수 : 4n 또는 5n

275.
고구마 : 덩이뿌리 / 감자 : 덩이줄기 (괴경)
콩, 땅콩 : 열매

276. 속씨식물 배우체 형성
소포자모세포는 체세포 분열 (감수 분열 X)
대포자모세포에서 세포사멸 발생
꽃가루관핵은 수분 이후 꽃가루관을 형성합니다.

277. 속씨식물 중복수정
꽃가루 정자핵 1개 → 난자와 결합 : 배 (2n)
꽃가루 정자핵 1개 → 극핵과 결합 : 배젖 (3n)
꽃가루 관세포핵 1개 (염색시에만 보이는 핵) : 꽃가루관 생장에 관여
+ 정자핵이 1개만 있으면 배만 형성되고 배젖이 형성되지 않습니다.

278.
꽃가루 S1aS2a / S1bS2b + 암술머리 S1bS2b / S1bS2b 일 때
배우체 자가불화합성 : S1aS2a 꽃가루가 수분이 일어남
포자체 자가불화합성 : 둘 다 수분 X (아예 발아도 일어나지 않음)

279.
배우체성 자가불화합성은 암술대에서 일어납니다.

280.

쌍떡잎식물의 줄기는 주근계
하배축의 1기 분열 조직 : 원표피, 기본분열조직, 전형성층

281.
내피 카스파리대는 반드시 심플라스트로 통과해야 합니다.
(∴ 심플라스트로 진입했으면 물관, 체관에 도달할 때까지 경로를 안 갈아타도 됩니다.)
설탕 수송 : 동반세포 - 체관요소 세포막에서 H+/설탕 공동 수송을 이용합니다. (H+ 농도 기울기 이용)
뿌리털, 내피에서 NO3-는 아포플라스트 -> 심플라스트로 갈아탑니다.

282.
물관 천공판 : 일자형 구멍
체관 천공판 : 동그란 구멍
수분 퍼텐셜 : 표피 > 중심주
체관 세포는 핵이 없습니다. (죽은 세포이므로)
NO3- 유입 : H+ 농도 기울기를 통한 공동수송

283.
표피는 기본조직이 아니라 표피조직에 해당합니다.
카스파리대 구성물질 : 슈베린

284.
공변세포 내 K+ 유입 → Cl- 유입 발생 유도 (둘이 같이 증가 및 감소)
적색광 : 공변세포 광합성 유도 → 설탕 축적 → 기공 열림
아침 공변세포 K+ 유입은 H+ 농도 기울기에 의해 발생합니다.

286.
부피 유동 : 압력차에 의한 용액의 이동

287.
잎에서 고정된 14C는 설탕의 형태로 전달되며, 줄기 위쪽과 아래쪽 잎 모두에서 검출됩니다.
수액 이동 동력은 ATP 능동수송에 의한 양압입니다.

288.
식물 필수원소 : P, S, K, Ca, Mg 포함 (필수원소가 아닌 다른 원소들은 미량원소)
광합성 보존색소 = 카르티노이드 (엽록소 X)
Fe2+ 결핍 : 어린 잎의 백화현상 / 엽록소 a 결핍 : 성숙한 잎의 백화현상

289.
쌍떡잎식물 : 십자형 물관 분포 / 외떡잎식물 : 원형 물관 분포
박테로이드 : N2 → NH3 → NH4+ (토양으로부터의 H+)
질산화세균 : NH4+ → NO3-
레그헤모글로빈(Hb) : 리조비움에 ATP 생산하도록 O2를 공급 (= 혐기성 환경 유지)

290.
옥신 수송은 정단 → 기저로 이동하므로 정단 우성(끝눈이 곁눈의 생장을 저해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91. 옥신

옥신은 빛을 받지 않는 쪽으로 이동합니다. (분해되는 것이 아님)
식물은 청색광 수용체를 가지므로 청색광만 비춰줘도 옥신에 의한 굽어자람이 발생합니다.
옥신은 세포벽의 산성화를 유발합니다.

292.
옥신 : 세포벽의 pH ↓, 익스펜신 활성 ↑, 절편 길이 ↑
옥신 농도가 10^(-4)M을 넘어가면 세포 신장을 오히려 억제합니다.
가지 절단면에 옥신 처리 : 조직 탈분화 → 뿌리 발생

293.
식물 익스펜신 : 셀룰로오스 미세섬유와 다른 구성 요소 사이의 '수소결합'을 끊습니다. (가수분해가 아님)
익스펜신은 단백질이므로 끓이면 변성됩니다.

295.
정단고리를 형성하게 하는 것은 에틸렌이지만, 정단고리 열림현상을 유도하는 것은 피토크롬입니다.

296.
펙틴 ↓ → 뿌리털 분화, 신장 ↓
낮은 인산염 배지 식물은 에틸렌을 생산합니다.
높은 인산염 배지 식물 + 에틸렌 = 뿌리털 형성 ↑

297. 과일 숙성
에틸렌은 호흡 ↑ 유도, C2H2(g)의 기체 호르몬이므로 밀폐시키면 에틸렌이 축적되어 숙성이 더욱 ↑
CO2는 에틸렌 합성 억제
은염은 에틸렌 작용 저해제

298.
다량의 IAA 처리 → 에틸렌 합성 ↑

299. 장일식물 / 단일식물
광중단 시 마지막 빛이 적색광 → 광중단 효과 O
광중단 시 마지막 빛이 근적외광 → 광중단 효과 X
ex ) 장일식물 밤에 잠깐 근적외광을 비추면 개화 X
ex ) 단일식물 밤에 적색광-근적외광 순으로 반복적으로 비추면 마지막이 근적외광이므로 개화율 ↑
(밤이 안 끊긴 것으로 판단)
피토크롬은 잎에 존재하므로 일부 잎만 조건을 만족해도 개화가 일어납니다.

300. 개화 호르몬 = FT 단백질
FT는 동반세포에서 발현, 체관요소로 이동 후 정단분열조직으로 이동
FT는 APETALA1 유전자 발현 촉진
ex ) FT-NLS 융합 시 FT는 핵에만 머물러 있으므로 이동하지 않습니다.
ex ) FT를 체관에 위치 → 개화 늦음
ex ) FT를 줄기에 위치 → 개화 빠름 (야생형과 동일)

302.
지베렐린은 배아에서 합성됩니다. (배젖은 양분으로 사용됩니다.)

304.
청색광 수용체 포토트로핀, 적색광 수용체 피토크롬 : 둘 다 단백질 인산화효소

305.
옥신은 광합성 작용 스펙트럼이므로, 광수용체는 엽록소 = 색소가 틸라코이드막에 위치 (원형질막 X)
식물이 땅 위로 나온 이후 줄기신장 억제 : 크립토크롬 (청색광 수용체)

306. PAMP (병원체 관련 분자구조)
ex ) SPR은 SP라는 PAMP를 인식합니다.
저항성 단백질(R)은 특이적 유도인자를 인식하는 수용체입니다.
(SPR은 특이적으로 작용하지 않으므로 저항성 단백질이 아닙니다.)

307. 식물 면역
국지적 세포 사멸 : 과민성 반응, 피토알렉신 관여
전신획득 저항성 : 1차 접종 후 다른 잎에 2차 접종했을 때 감염 증세 X, 살리실산이 이동하여 작용합니다.
R - Avr 상호작용 일어날 시 1차 접종 후 전신획득 저항성이 나타납니다.

308.
식물의 전신성 획득저항은 여러 방어 유전자 발현을 동시에 유도하는 비특이적 반응입니다.

309.
감수성 : 수가 감소함(으로 암기), 방어 작용이 억제됨을 의미
전신성 획득저항은 '비특이적 작용'이지만, 어떤 병원균 X에 의해 전신성 획득저항이 생기면,
저항성 유전자 - 병원균의 비병원성 유전자 간에 '특이적 작용'이 일어난 것입니다.

310. 균 X를 잎 표면에 접종하는 실험

균 X는 닫힌 기공을 열리게 하여 내부로 증식함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311.
많은 식물 세포는 분화된 세포여도 온전한 식물체를 형성 가능합니다.
ex ) 줄기에서 분리한 세포에 토마토 관련 유전자 X를 넣어주고 재분화 시켜주면, 유전자 X가 과발현되는 토마토 형질전환체가 얻어집니다.

312. 문제 상황 : Hyg 저항성을 가진 유전자 H를 가진 벼가 있습니다.
염색체 1, 3번에 H가 1개씩 있는 세포를 배양한 X가 있을 때, 벼 X는 H에 대한 반접합성이라고 합니다.

→ 감수분열 시 딸세포에 H가 0~2개
배젖은 2개의 극핵을 가지고 이들은 같은 핵형을 가짐. 정세포는 1개의 핵을 가짐.
∴ 정세포 : 0, H, HH x 난세포 : 0, H, HH
또는 정세포 : 0, H, HH x 극핵 : 0, HH, HHHH (여기서는 배젖이 발생하여 H는 0~6개 사이를 가지게 됩니다.)

313.
광합성 → 기공 내 CO2 ↓ (소모) → 기공 내 K+ ↑ (기공 열음)

314.
수송 소낭은 액틴 미세섬유가 수송합니다.
옥신은 줄기 반대 방향으로만 이동합니다.
세포벽의 pH가 낮아야 (< 세포 내) IAA- + H+ → IAAH 옥신 수송 ↑

315. 옥신에 대한 성장률 그래프

뿌리에 Ca2+ 처리하면 Ca2+는 옥신 쪽으로 이동하여, 해당 쪽에서 뿌리 성장률 ↓

317. 에틸렌

에틸렌 음성조절자 돌연변이 → 에틸렌 활성 ↑
수용체 돌연변이 + 음성조절자 돌연변이 (= 양성피드백만 작용) → 에틸렌 활성
양성조절자 돌연변이 + 음성조절자 돌연변이 → 에틸렌 비활성

318.
휴면 상태(ex : 단일 조건의 장일 식물)에 있는 식물은 에틸렌 생산 또한 ↓(헷갈림 주의), 앱시스산 생산은 ↑

319.
두 종류 색의 콜로니가 같은 수로 있을 때 흰색 콜로니 세균만 계속하여 계대 배양을 한 실험 결과가 다음과 같다고 가정

→ 최초 대장균 집단에 존재하던 대장균들 중, 증식속도가 1.4배인 대장균이 자연선택 된 것임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320.
성간 선택 : 이성 유혹
성내 선택 : 동성 간 경쟁
성적 이형성 : 동물 암수에서 외형적으로 나타나는 차이

321.
유전적 부동 : 창시자 효과, 병목 효과
크기가 작은 집단일수록 유전적 부동이 크게 나타납니다.

323.

2~6억년 전 분기한 종들의 계통학 연구를 위의 자료를 이용하여 한다고 할 때,
A는 변화가 별로 없으므로 B가 더 적합합니다.
C 자리 염기 돌연변이는 아미노산 잔기를 변화시킬 확률이 낮기 때문에 보존이 잘 되었던 것입니다.
A는 염기가 다른 비율이 높으므로 코돈의 마지막 자리임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워블)
Mt 진화속도 > 히스톤 진화속도

324.
자연선택의 대상이 되지 못함 = 적응도에서 중립적
위유전자의 염기 치환은 코돈의 모든 자리에서 일어납니다. (원래 염기 치환은 코돈 3번째 자리에서 주로 발생)
피브리노펩티드 : 중요도가 낮은 짧은 펩티드
중요하지 않은 펩티드는 비동의치환이 더 많이 발생합니다.

325.
돌연변이는 무작위로 발생합니다.
∴ 어떤 코돈이 다른 코돈보다 돌연변이가 일어날 확률이 높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326.
어떤 분기점이 발생한 후 두 글부에 조류, 포유류가 섞여 있음 = 조류, 포유류 분기 이전에 어떤 분기점이 발생하였음
리소자임은 세균의 세포벽을 분해합니다.
수렴 진화는 독립적으로 각각 진화한 결과입니다. (용어 자체의 의미와 혼동 주의)

327.
자매분류군 : 직전의 공통조상을 공유
외군 : 연구대상인 분류군 바깥의 군

328.
상사 형질(= 수렴 진화)은 계통 발생을 추정할 때 배제되는 조건입니다.

329.
고유파생형질 : 단독적인 파생형질
공유파생형질 : 파생형질이지만 다른 계통과 일치하는 형질
양막은 조류, 파충류, 포유류에만 있습니다.

331. 고세균

원핵 세포의 세포막에는 콜레스테롤이 없습니다.

332.


수렴 진화 = 상사 형질
해면동물을 제외한 다른 동물들은 모두 2개의 배아 세포층을 가집니다.

333.
극피동물은 관족이 있습니다.
척추동물 중 일부만 턱이 있습니다.
척삭동물은 등쪽에 신경삭을 가지고, 신경능은 일부(= 척추동물)에만 나타납니다.

334.
경골어류부터의 공유파생형질 : 경골성 골격
척추동물은 모두 두개골, 신경능선을 가집니다. (턱은 모든 척추동물이 가지지는 않음)

335.
털은 포유류의 공유파생형질
양서류, 파충류, 포유류는 모두 사지류이므로, 능구렁이도 사지류에 해당합니다.
수원청개구리는 척색이 퇴화하고 척추만 있습니다.

336.
헛물관 ⊂ 관다발 조직계 → 육상 식물에 모두 있습니다.
관다발 식물은 포자체 > 배우체인 세대 교번을 거칩니다.

337. 조류
- 부등편모류
- 갈조류 : 다세포이며, 육상식물과 유사한 상사기관을 가짐
- 규조류 : 세포벽에 이산화규소를 가짐
- 녹색식물
- 홍조류 : 편모 X, 부동 포자를 가짐
- 녹조류
파장 ↓일수록 바다 깊은 곳까지 도달 (청, 녹)
홍조류는 녹색 빛 흡수 → 녹조류보다 깊은 바다 서식

339.
계통수 최대 단순성 원리 : 하나의 독립적인 형질이 있으면 그 종부터 우선 분리

340.
해면동물은 조직이 없으므로, 진정후생동물에 포함 X

342.
방형구법 : (고정되어 있는) 식물 개체군 크기를 유추할 때 사용되는 측정법입니다.

343.
사망률 = (n살일 때 사망 개체수) / (n살 생존 개체수) 이므로, 사망률이 일정하려면 사망 개체수는 점점 감소해야합니다.

344.
따개비 서식에 미치는 영향력은 종간 경쟁이 해수면의 높이보다 큽니다.

345.
두 그룹이 공생했을 때 한 쪽의 개체가 감소하면, 두 군은 생태적 지위가 겹친 것입니다.
상리공생이 되기 위해서는 두 군의 상호 이득이 뚜렷해야 합니다.

346.
경쟁적 배제 : 한 쪽 군의 절멸이 일어나야 합니다.
자원 분할 : 종간 경쟁 + 자원 사용 방식 변화 + 공존

347.
핵심종 : 생태계 군집 구조를 결정하는 종 (일반적으로 최상위 포식자)

348.
극상 활엽수림은 침엽수림보다 그늘에 대한 내성이 강합니다. (= 광보상점)

349. 천이
음수성 식물 : 직경 ↓ (숲 아래 빛이 적은 지역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
보상점 : 양수림 > 음수림

350.
천이 앞쪽 단계 생물들은 뒤로 갈수록 우점도 ↓
비생물적 유기물질 = 낙엽, 사체 : 천이 뒤쪽 단계로 갈수록 ↑

351.
2차 천이는 산불, 벌목 등으로 발생합니다. (용암 대지와 같은 경우 1차 천이입니다.)
2차 천이의 경우 지의류를 생략하고 초본류부터 자라므로, 천이 속도가 더 빠릅니다.
2차 천이여도 천이 초기에는 r-선택종의 우점도가 높습니다.

352.
떡갈나무는 (온대) 활엽수림에 분포합니다.

353. 밀폐된 용기의 토양에 식물의 호흡량을 측정하는 실험 (토양에 미생물은 항상 포함되어있음)


354.
토양의 수분 함량 : 툰드라 > 온대 초원

355.
연체동물은 진체강을 가집니다.

356.
생태 피라미드에서 에너지 흐름의 최종 단계는 최상위 포식자가 아닙니다.
(최상위 포식자의 에너지도 분해자에게 돌아감)


357.
탈질화세균 : NO3- → N2 (산소를 제거하므로 혐기성 환경에서 일어남)
분해자 중에는 진핵생물(곰팡이 등의 균류)도 있습니다.
뿌리혹박테리아 = Azotobacter : 산소가 부족한 환경이지만 예외적으로 호기성 세균

358.
질소 고정 : 육상 > 해양
질소 비료 질산염은 부영양화 유발
질소동화세균 ≠ 질산화세균

359.
탄소 저장량 : 토양 > 대기
생산자가 생산한 화학E 중 NPP만을 소비자에 전달 가능합니다.

360.
북방침엽수림은 캐나다 북부에 넓게 분포하며, 상록침엽수림이 많습니다.
열대우림은 대부분의 무기영양소가 식물에 고정되어있고, 토양에는 없습니다.
∴ 열대우림은 농업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361.
사막은 중위도 지역에 나타납니다. (저위도 X)

364.
식물 생물량은 음수림이 생겨도 계속해서 증가합니다.
1차 천이 : 이전에 군집이 존재하지 않던 곳에서 일어나는 천이이므로, 산불이 난 곳에서는 2차 천이가 발생합니다.

365.
N2 형태의 질소를 이용할 수 있는 식물은 없습니다.
질소고정세균 : (대표적으로) 콩과식물과 연합하여 질소를 고정합니다.
질화세균 : NH3/NH4+ → NO2- 작용을 수행

366. 생태계
온대활엽수림 : 낙엽활엽수림이 극상을 형성합니다.
한대침엽수림 : 상록침엽수림이 발달되어 있으며, 두터운 털을 가진 포유류가 서식합니다.

367.
에오신 : 산성 시약, 세포질 염색
70% 알코올 : 세포 구조를 유지한 채로 슬라이드 글라스 부착 (탈수 + 고정)

369.
림프구는 핵이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적혈구는 핵이 없습니다.

370.
셀룰라아제 : 녹말 분해 X
베네딕트 환원 반응 : (단당류, 과당, 젖당) 환원당만 반응이 일어나 황적색으로 나타남
ex ) 녹말에 셀룰라아제를 처리하면 베네딕트 반응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371.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여과지의 원점은 전개용매에 잠기면 안됩니다.
식물 파쇄 + 아세톤 첨가하여 원심분리 : 하층액에 아세톤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들이 침전됩니다.


372.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완충용액 pH 8.0일 때, 단백질 등전점 pI가 낮을수록 용출 속도는 ↓ (인력 ↑이므로)
등전점이 8.0보다 크면 NaCl 용출 피크가 아예 나타나지 않습니다.

373.
염기성 아미노산(ex : 아르기닌)이면 중성 pH에서 (+), 등전점은 높음 (헷갈림 주의)

374.
겔여과크로마토그래피 : 단백질 분자량 ↑ → 용출 부피 ↓
단백질 환원 상태 = 이황화결합 끊어짐

375. SDS-PAGE
SDS는 폴리펩티드 사슬을 (소수성 상호작용으로) 덮어 음전하를 띠게 합니다.
(비스)아크릴아마이드는 중합체를 형성하여 분자 체 역할을 합니다.
전기영동 단백질 이동방향은 (-) → (+)
단백질 분자량과 이동 속도 관계 : D = a - b log M

376.
EtBr : 핵산 염색에 사용
전기영동 환원 상태 = 단량체로 존재 = 환원제 처리 = 이황화결합 끊어짐
(∴ 단량체는 이황화결합이 존재하지 않음)

378. 항체를 이용한 단백질 사이 상호결합 실험


379.
단백질 전기영동 시 280nm 흡광이 나타난 경우 : 방향족 아미노산(Phe, Trp, Tyr)을 포함

380.
부탄올은 비극성 용매이고, 따라서 전개용매가 부탄올일 경우 순상 크로마토그래피에 해당합니다.
닌히드린 : (수용액의) 아미노산과 반응하여 청자색으로 발색
뷰렛 : (2개 이상의) 펩티드 결합을 가진 화합물들과 반응하여 자주색으로 변색

381.
pI(등전점) = 9.0인데 pH = 8.0이면, 단백질 순전하는 양의 값입니다.

382.
Glu : 산성 아미노산
Arg, Lys : 염기성 아미노산
펩신 : 방향족 아미노산의 아미노기(N)쪽을 절단합니다. (Phe, Trp, Tyr)

384.
RNA 용액을 90℃에서 5분간 방치 : 헤어핀 구조를 풀기 위함 (단백질 2차 구조를 푸는 것이 아님)
Oligo dT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 Oligo dT와 RNA 사이에 수소결합이 형성, NaCl은 음전하를 상쇄시키는 용도로 사용

385.
대장균은 그람음성균입니다.
그람균 염색 : 파란색의 크리스탈 바이올렛으로 그람양성균 먼저 염색 → 빨간색의 사프라닌으로 그람음성균 염색
페니실린 감수성 : 그람양성균 < 그람음성균 (∵ 펩티도글리칸 층의 두께가 그람양성균이 더 두꺼우므로)

386. 혈청
A형은 혈청에 항B 항체가 있습니다. (ex : B형 적혈구에 A형의 혈청을 넣으면 응집이 일어납니다.)
A형은 항A 항체가 있는 혈청에 응집이 일어납니다. (ex : A형이면 O형의 혈청에 의해 적혈구가 응집됩니다.)
히루딘은 적혈구 - 혈청의 항원 - 항체 반응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혈액에 반응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피브리노겐은 혈액에 들어있으며 히루딘에 의해 작용되고, 혈청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387.
BOD (산소요구량) = △DO (용존산소량의 변화량)
빛이 있는 곳 : 광합성 → O2 생성 → DO ↑
질산화세균 : NH4+ + O2 → NO2-, DO ↓

388.
용액을 희석할 때 시약에 의해서도 희석이 될 수 있으므로 희석량을 확인해야 합니다.

389.
어떤 단백질이 비오틴으로 표지 후에도 리간드와 결합한다면, 이 단백질은 리간드의 수용체입니다.

390.
전기영동 SDS는 단백질들이 -극에서 +극으로 이동하게 해줍니다.

391. 아미노산 성질 정리
산성 :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염기성 : 리신, 히스티딘, 아르기닌
중성 소수성 : 글리신, 발린, 알라닌, 류신, 이소류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중성 친수성 : 그 외 모두

392. BOD
유기물이 많다 = BOD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