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학년도 PEET 기출문제들 중 어려웠거나 애매했던 보기가 있는 문제들을 선별하여 풀이를 정리해봤습니다.
일반화학
속도 상수 k의 온도 의존성 : 온도 변화량에 따라 속도 상수가 얼마나 많이 변화하는지를 의미 → 활성화 에너지가 클수록 lnk 그래프의 기울기가 높아지므로 온도가 조금만 변해도 k 값이 많이 변화
∴ E_a가 클수록 k의 온도 의존성이 높아집니다.
2A+ → A2 반응에서 A+에 대한 속도 상수 : v = d[A2]/dt = 1/2 × (-d[A+]/dt) = k[A+]^2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A+에 대한 적분 속도식을 쓸 때는 속도 상수 자리에 2k가 들어가야 합니다.
특정 (느린 반응) 단계의 반응 차수 : 반응 계수비를 최소 정수비로 맞춘 뒤 → 반응물의 분자 수가 반응 차수
전체 반응 차수 : 중간체를 빠른 평형에서 반응물에 대한 식으로 바꾼 뒤의 지수의 합
4번
증기압 내림은 끓는점 오름과 변동 방향이 반대이므로 주의할 것.
16번
속도상수 k의 온도의존성이 크다 = E_a가 커야 lnk 기울기가 커지므로 k의 온도의존성이 커진다.
18번
면심입방구조 배위수 12가 안 나오면 다시 해보기.
19번
기체를 섞어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면 △U ≠ 0 (물리적 열역학만 고려하면 안됨) (+ △T = 0이면 △U = △H)
△G = △H - T△S(계)
△S(주위) = -△H/T (응용 : -△G/T = -△H/T + △S(계) = △S(주위) + △S(계)
△S(계) = ΣS(생성물) - ΣS(반응물)
24번
두 반응식의 평형 상수가 존재할 때, 기체를 섞고난 다음에 두 반응상수가 모두 평형상수에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25번
2H+ → H2이면, 생성물의 생성속도 = 반응물의 소모속도 × 1/2이고, 따라서 v = k[H+]^2 → -d[H+]/dt = "2"k[H+]^2
유기화학
6번
EAS에서 OH보다 Cl이 반응속도가 느린 이유 : Cl은 유발효과 > 공명효과이므로.
할로젠 원소는 EWG(유발 > 공명)이지만 EAS에서 -o, -p 지향이다. (-o, -p 지향기여도 전하를 당기는 효과가 더 큼)
7번
제거 반응에서 고리가 깨지고 알켄이 생성될 때는, 돌려서 답을 찾으려 하지 말고 (E), (Z)를 이용.
9번
비대칭 탄소 : 4개의 치환기가 모두 다른 카이랄 탄소
11번
라디칼 생성 반응 : Benzyl 자리 고온 가열, 버치 환원 반응 중간체
12번
trans 접합 고리 생성 문제인데 실수를 제외하고는 딱히 어려운 부분이 없음
13번
9-BBN은 입체선택성이 아주 좋으므로 steric이 작은 아래로 접근, 아래에서도 steric이 작은 메틸기 없는 쪽으로 OH 생성.
16번
에스터는 카르복실산과 비슷하게 생각 : NaBH4 → 반응 x, LiAlH4 → 1차 ROH, CH3MgBr → 3차 ROH
(카르복실산과의 차이점 : 카르복실산에 LiAlH4 → 1차 ROH or "COO-"(수소만 제거))
문제를 풀기전에 에스터 + NaBH4, LiAlH4, NaH, CH3MgBr의 생성물을 명확히 구분할 줄 알아야합니다. (+ 카르복실산과의 차이점)
위의 차이점을 명확히 구분한다면 에스터와 카르복실기, 케톤, 알데하이드 사이에서 어떤 시약이냐에 따라 반응이 일어나고 안 일어나고를 구분할 수 있으므로 쉽게 해결이 가능합니다.
17번
OH의 수소가 떨어지면 무조건 케톤이 되는 것이 아니라, 분자내 SN2를 할 수 있으면 우선으로 해야함.
18번
ClCH2COCl에서, CO가 EWG이기 때문에 Lewis 산촉매가 CH2Cl 쪽에서 작용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COCl 쪽이 공명구조가 훨씬 안정함.
일반물리
9번
단색광의 속도가 빠를수록 임계각이 크다. (= 느릴수록 전반사가 잘 일어난다.)
A가 45도에서 전반사가 일어났다면, i_c < 45도 → sin i_c < sin 45도임을 이용한다.
14번
두 원형 도선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력을 그릴 때, 원형 도선 한 점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기장만 그리지 말고, 양 끝 점에 의한 자기장 방향을 둘 다 그려서 그 합력 방향으로 자기장을 그린다.
15번
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위상 = 전류의 위상
피타고라스 정리로 임피던스 구할 때 계산 실수 주의
16번
회로 전체 저항이 2R이고, 축전기에 걸리는 전압이 V/2이면, 축전기 I_max = I_0 = (V/2)/2R
20번
20번 정도에 위치되어있는 역학 문제 중에서도, 에너지 합을 구하는 문제에서 부호나 계산 실수 주의
생명과학
3번
동물 세포 이동 시 뒤쪽에서는 미오신 + 액틴(미세섬유) 결합을 통해 수축
(아는 개념이더라도 중심립과 같이 불분명한 요소가 껴있으면 의심해볼 것)
4번
A → B → C에서 A → B 과정의 효소가 결핍되어 있으면, 1단계 되먹임 억제는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본다.
11번
RNA 고온 처리 : 헤어핀 구조(= 2차 구조)를 풀기 위함.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NaCl 넣어주는 이유 : RNA (-) 반발이 상쇄되어 OligodT와 결합이 가능해지므로
(+ 이 때 poly A를 가진 mRNA만이 oligodT와 A-T 수소결합)
** 수정 ) 90℃라고 써야하는데 각도로 잘못 표기되어 있음
14번
(HIV를 둘러싸는) 캡시드의 번역은 자유리보솜에서 진행되지만, 조립은 세포질에서 일어난다.
17번
양서류에는 양막이 없다. (조류, 파충류, 포유류에만 있음)
19번
익스펜신 : 셀룰로오스 미세섬유 -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의 수소결합을 끊어서 세포를 신장시킴
22번
T세포 수용체 O, CD4 O : CD4+ Th 세포
T세포 수용체 O, CD4 X : CD8+ Tc 세포
T세포 수용체 X, CD4 O : 대식세포
T세포 수용체 X, CD4 X : B세포
26번
운동피질은 전두엽 / 두정엽은 피부감각, 몸의 자세, 위치 등을 조절
27번
바깥쪽에 위치한 신경능세포 : 말초신경계 = 교감/부교감신경
체절은 중배엽 세포로부터 형성
신경관의 "유래"는 외배엽 신경판(카드헤린), "형성을 유도"하는 것은 척삭 (차이를 구분할 것)
28번
"n배엽성이다"라고 묻는 것은 외, 중, 내배엽의 묻는 것임 (ex : 자포동물의 히드라 = 2배엽성)
30번
질소 고정량은 해양 < 육상
+ 참고 ) 바다 : 탄소 유입 > 유출, 질소 유입 < 유출
'자연과학(PEET) > PEET 기출문제 회차별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학년도 PEET 일반화학/유기화학/일반물리/생명과학 2회차 오답노트 (0) | 2021.08.10 |
---|---|
2014학년도 PEET 일반화학/유기화학/일반물리/생명과학 2회차 오답노트 (0) | 2021.08.10 |
2016학년도 PEET 일반화학/유기화학/일반물리/생명과학 2회차 오답노트 (0) | 2021.08.07 |
2017학년도 PEET 일반화학/유기화학/일반물리/생명과학 2회차 오답노트 (0) | 2021.08.06 |
2018학년도 PEET 일반화학/유기화학/일반물리/생명과학 2회차 오답노트 (0) | 2021.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