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PEET)/PEET 기출문제 회차별 풀이

2021학년도 PEET 일반화학/유기화학/일반물리/생명과학 2회차 오답노트

restudy 2021. 8. 3. 07:43
반응형

혼자 공부하면서 푼건데 혹시 참고할사람 있을까해서 첨부만 합니다.

급하게 풀어서 글씨가 조금 날릴 수 있습니다.

 

일반화학

7번

OH- 넣었을 때 완충용량이 늘어나는지 물어본다면, 그냥 HA : A-가 1 : 1에 가까운 용액이 완충용액이 크다. (헨더슨-하셀바흐 식 이용하려고 하지 말 것)

 

9번

자유 피스톤 내 액체가 증발하는 상황 : 각 상황에서 n = PV에다가 P_tot = ΣP_i 식까지 연립해야 답이 나옴.

 

10번

1 이상의 큰 용해도가 주어져도 전체 물에 얼마나 녹는지 계산해볼 것.

이온이 모두 녹는다면 농도 비는 그냥 넣어준 몰수 비로 계산하면 됨.

 

11번

액체 부피만 주어졌는데 몰농도 비교하려면 분모에 용질 질량까지 더하고 1/d 곱해줘야 함.

양만 다르고 성분이 같다면 밀도가 같다는 성질을 이용하면 더 수월하게 계산 가능.

 

13번

EuF3 질량 - Eu 질량 = F의 총 질량이이고, 이를 분자량으로 나누어주면 F의 몰 수이고, H2 몰수는 F 몰수에 계수비를 곱하면 됨.

 

14번

전체 반응 속도 상수는 속도 결정 단계(느린 반응)의 속도 상수와 같음.

 

15번

가장 가까운 이온 수 셀 때 8개가 나온다면 12개가 아닌지 다시 확인해볼 것.

 

19번

 

20번

어떤 기체의 부분압이 증기압보다 작다면, 증기압에 도달할 때 까지 기화가 계속 일어난다.

 

21번

반감기가 늘어난다면 2차 반응이고, [B]가 [A]에 의존한다면 (ex : [B] = 2[A]) 이 반응은 B에 대해서 0차 반응이다.

 

유기화학

H+/H2O = 과량 처리 (2021-5)
수정 ) 에폭사이드 고리열림 반응 : 산 조건에서 3차>1차>2차 / 그 외 상황에서는 1차>2차>3차 (2021-10)
에스터에서 H+은 C=O의 O로 간다 (2021-18)

 

5번

H+/H2O는 반응이 한 번 일어나더라도 반응할 자리가 남았다면 모두 반응이 일어난다.

 

6번

꼭 육각형 구조가 아니더라도 Claisen 재배열이 일어날 수 있다.

O와 알켄 사이 탄소가 하나 끼어있는 쪽이 단일 결합이 사라지고, 반대쪽에 C=O 이중 결합이 형성된다.

 

7번

 

8번

SNAr은 EWG가 -o, -p 자리에 있는 것이 반응성이 좋다.

 

10번

Cl → N3로 치환이 일어났는데 입체배열이 그대로라면, SN2가 2번 발생한 것이다.

 

11번

TLC에서 시료의 극성이 클수록 Rf(이동거리)가 작다.

OPh는 건드리지 않고 OH 시약만 제거하려면, 강염기로 OH를 반응시켜서 제거하면 된다. (HCl을 넣을 경우 NH2와도 반응하므로 안된다.)

 

12번

Allyl기는 탄소 3개짜리이다. (탄소를 2개만 그리지 않도록 주의)

 

15번

SN2이면 반응성이나 EDG를 따지는 것이 아니라 원칙대로 steric이 작은 쪽으로 첨가되어야 한다.

 

16번

똑같은 3차 C+가 형성되는 알켄이어도 EWG가 근처에 있는 쪽이 반응성이 낮다.

 

18번

Benzyne 생성반응은 이탈기 반응성이 기준이므로 Br > Cl > F

에스터에 H+를 처리하면 C=O의 O 쪽으로 붙은 뒤, 공명을 거쳐 다른 산소가 양이온이 된다. (그러면 SN 등으로 연계 가능)

 

20번

제거 반응이라도 E1과 E2는 엄연히 다른 메커니즘이므로 보기에 속지 않도록 주의한다.

 

일반물리

13번

도선이 반원을 이룬다면 원형 도선 자기장의 1/2만 작용하므로 1/2을 곱해주어야 함. (실수 주의)

 

16번

같은 프리즘에 다른 광원이 입사한다면 한 그림에 두 빛을 굴절각이 다르게 그려보고 나머지 각도를 계산한다.

굴절률은 sin r에 반비례함을 이용하면 계산이 수월하다.

 

생명과학

2번

H2O 광분해는 틸라코이드 내부에서 광합성에 이용된다.

NADPH는 스트로마에서 탄소 고정 반응에 사용된다.

광합성 전자전달계 : H2O 광분해 → NADPH, ATP 생성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 : NADH, FADH2 소모 → H2O, ATP 생성

 

3번

아미노산은 tRNA의 3' 말단 OH에 에스터 결합으로 연결된다.

 

4번

부신 수질 호르몬은 친수성 아민이므로 막수용체에 작용하고, Epi / NEPi 등이 있다.

부신 피질 호르몬은 스테로이드로 핵수용체에 작용하고, 코티솔 / 알도스테론 등이 있다.

→ 세포 내 수용체가 핵으로 못 들어가게 막는 억제자(샤페론)과 결합하고 있다가,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결합하면 억제자와 분리되며 핵으로 들어가 전사인자로 작용한다.

 

5번

난자는 배아 시기에 형성되며, 출생 전 감수 1분열 전기에 중단된다. (제1난모세포)

난모세포는 감수 2분열 중기에 중단되지만, 수정이 일어날 경우 감수분열이 촉발되어 난자가 된다.

 

7번

유조직 : 물질 저장, 합성 (ex : 유관속초세포)

후각조직 : 두꺼운 1차 세포벽 (유조직보다 덜 빽빽함)

후벽조직 : 죽은 세포, 두꺼운 2차 세포벽, 지지 기능

+ 종자 껍질은 단단하게 하는 기능을 하므로 후벽조직에 해당

 

9번

막대 세포에서는 수용기 전위가 발생 (활동 전위 x)

광수용기 세포는 빛 자극이 없을 때 탈분극 발생

 

10번

김자액 = 에오신 + 메틸렌블루

에오신 : 산성 (-) 시약, 세포질 염색

메틸렌블루 : 염기성 (+) 시약, 핵 (-) 염색

 

13번

피루브산 산화과정(피루브산 → 아세틸CoA) : 큰 자발성을 가지는 비가역과정

젖산 발효 : NADH → NAD+ 산화 (NAD+는 해당과정에서 사용)

에탄올 발효 : 피루브산 → 아세트알데히드 → 에탄올, ATP 생성 x

 

20번

상배엽 : 외배엽, 중배엽, 내배엽 모두 형성

하배엽 : 상배엽 아래에 위치

영양막세포 : 융모막 형성

양막은 (상배엽에서 유래된) 외배엽, 중배엽이 형성

원구(원조)는 상배엽에서 형성 (영양막세포와는 관련 x)

 

24번

형질세포 = 효과기세포 = 자극받은 성숙 B세포

(수지상세포는 형질세포가 아니므로, 이들과 관련이 없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