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PEET)/PEET 기출문제 회차별 풀이

2020학년도 PEET 일반화학/유기화학/일반물리/생명과학 2회차 오답노트

restudy 2021. 8. 4. 21:34
반응형

2020학년도 문제들 중에 오답노트식으로 헷갈렸던 보기들만 정리해서 다시 풀어봅니다.

대충 풀어서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일반화학

6번

같은 용액에 대해 온도가 변해 밀도가 바뀐다면, 질량이 일정하다는 특성을 이용해 V1d1 = V2d2 식을 활용.

 

8번

원소들이 섞여있는 화합물 양을 계산할 때는 각 원소를 미지수로 두지말고 YZ2 몰수를 x, XZ 몰수를 y로 두어 소숫점 없이 큰 수로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

 

13번

 

17번

두 용기의 부피가 다른데도 몰수비가 같다면 → △n_g = 0

농도가 큰 쪽의 기체의 분압이 높다.

 

23번

당량점에서 물질의 몰수를 계산하고 계수비와 몰수비를 이용해서 미지수를 구한다.

 

유기화학

2번

Z-알켄과 같이 구부러진 구조를 가지면 결정화가 어려워서 녹는점 ↓

(대칭면 많으면 녹는점 ↑인 것도 결정화가 쉽기 때문)

 

11번

 

12번

N 2개있는 피롤은 방향족은 맞으나 N 하나의 비공유 전자쌍은 방향족에 참여 안하므로 염기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염기성도가 그냥 피롤보다 높다.

방향족 경향성으로 p 오비탈에 최대한 6e-로 배치해본 뒤 sp3 원자가 있다면 방향족이 아님.

6각 + 5각도 전자쌍을 이동시켜서 5각 고리에 C- 음이온 만든다면 방향족이 됨.

 

14번

Simmons-Smith(CH2I2 / Zn(Cu)), mCPBA : EDG > steric

 

16번

에폭사이드 고리열림 반응 : 산촉매 있을 때 3차 > 1차 > 2차, 산 촉매 없을 때 : 1차 > 2차 > 3차

OTs 쪽으로 SN2를 해도 이후 할 수 있는 반응이 없다면 다른 곳으로 SN2 해야함.

 

** 수정 ) Lewis 산 역시 산촉매이므로 친핵체가 차수가 높은 탄소로 들어가야 맞습니다. 다만 여기서는 오른쪽으로 들어갈 경우 더 이상의 반응 진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왼쪽 탄소로 들어가야 비가역적으로 반응이 진행되기 때문에 위와 같이 반응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17번

HBr 첨가 반응은 Br이 차수 높은 탄소로 들어간다.

 

18번

EAS에서 두 후보 자리의 공명 구조 수가 같다면, E+가 EDG인 O에 가깝게 들어가는 것이 더 안정하다.

 

일반물리

11번

총알이 나무도막에 주는 충격량에서 질량은 나무도막 질량만 넣어야 함. (총알 질량까지 해서 101mV 하면 안됨, 100mV임.)

 

13번

복사 에너지에서 반지름 비와 표면적 비 구분 실수 주의.

 

16번

여러 겹의 솔레노이드에 의한 자기장에서 자기장 합한 방향 헷갈리지 말기.

 

생명과학

4번

CAM 식물 탄소고정효소는 PEPC (C4와 동일)

RuBP는 CO2, O2 모두 기질로 사용하지만, PEPC는 CO2만 기질로 사용.

 

5번

해당과정은 ATP를 뽑아내는 과정이므로 ATP가 부족할 때 촉진.

AMP, ADP, F-1,6 bisp는 해당과정 촉진 / ATP, 시트르산은 해당과정 억제

 

8번

엽록체 - 홍조류

 엽록소b - 녹조류 ⊃ 차축조류 (육상식물 자매군)

  큐티클층 - 비관다발육상식물 (선태식물), 배우체 우점

   헛물관 - 관다발식물 (양치식물), 포자체 우점

    종자 - 겉씨식물

     동반세포 - 외떡잎식물

      형성층 - 쌍떡잎식물

 

9번

Fe2+는 엽록소 합성에 필요하므로, 철 결핍에 의한 황백화 현상은 어린 잎에서 먼저 나타난다.

광합성 주색소 : 엽록소 a, 보조색소 : 카르티노이드

유비키논 : 소수성(지용성) 비타민 / 시토크롬 : 헴(Fe2+ 포함)을 가짐

 

11번

EtBr : 전기영동에서 핵산 염색할 때 사용 (단백질은 염색 안됨)

SDS 결합 양 ∝ 단백질 크기 (= 이동거리 작은 단백질에 SDS가 더 많다.)

 

13번

어떤 유전자가 매우 적다 = 자연선택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 = 개체군에 그대로 남는다 = 적응도에서 중립적

위유전자는 코돈 1, 2, 3번째 자리 모두에서 균등하게 치환이 일어나므로 정상 유전자보다 염기치환율 ↑

 

15번

Na+(밖)이 적으면 탈분극 시 유입량이 적어 peak가 낮다.

K+(밖)이 크면 과분극 시 유출량이 적어 과분극이 적게 나타난다.

 

17번

좌심실 수축이 끝나면 대동맥에서 혈압을 내보낼 차례이므로 대동맥압은 여전히 높다.

 

 

 

반응형